서울관광재단(대표 길기연)은 ‘2023 서울빛초롱축제’와 ‘2023 광화문광장 마켓’을 15일~내년 1월 21일 연다. 서울 광화문광장부터 청계광장, 청계천을 거쳐 서울광장까지, 총 4㎞ 구간에 걸쳐 역대 최대 규모로 개최된다. 서울관광재단은 “이번 서울빛초롱축제는 한지 등(燈) 전시의 정체성은 이어가면서 미디어 파사드, 레이저 등 신기술을 접목하여 관람객들에게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워진 축제를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서울빛초롱축제는 2009년 ‘한국 방문의 해’를 계기로 시작해 연평균 200만 명 이상이 방문하는 서울의 대표 겨울 야간관광 축제로 자리잡았다. 현재까지 누적관광객은 2625만명에 이른다. 올해 축제의 메인 컬러는 순백색, 주제는 ‘잠들지 않는 서울의 밤, 화이트 나이트 인 서울’이다. 광화문광장, 청계천, 서울광장 등 총 3개 구역으로 나누어 각 테마에 부합하는 빛 조형물을 설치한다. 특히 새해 청룡의 해를 맞아 한지로 제작한 10m 길이의 대형 푸른 용 등 다양한 형태의 용 조형물이 설치될 예정이다.
이미지 확대
광화문마켓 전경. 서울관광재단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광화문마켓 전경. 서울관광재단 제공.
광화문광장 마켓은 지역 소상공인과 함께 운영된다. 따뜻한 연말 분위기를 느낄 수 있도록 규모가 지난해 보다 2배 이상 확대됐다고 서울관광재단 측은 전했다. 광화문광장 마켓은 유럽의 크리스마스 마켓에서 모티브를 따온 행사다. 연말 분위기를 즐길 수 있는 마켓 부스를 조성하고 다채로운 시즌 소품, 수공예품, 겨울철 먹거리를 홍보·판매한다.
손원천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