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설「추노」 이다해처럼 한복입기

올설「추노」 이다해처럼 한복입기

입력 2010-02-06 00:00
업데이트 2010-02-06 0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가슴선 볼륨업… 살짝 요염하게

드라마 ‘추노’에서 이다해의 노출 장면이 화제다. 인터넷 게시판에는 “가슴 모아서 위에 불룩하게 만들지 말고 얌전하게 입었으면 좋겠다. 한복 치마 입을 때 가슴을 그렇게 안 만들 수 있는데 제발 에로배우처럼 입지 마라.”는 내용의 글이 빗발쳤다.

이미지 확대
한복을 입을 때 가슴을 위로 모은 다음 한복 치맛자락을 묶어주거나, 가슴컵 아랫부분에 패드가 들어 있는 브래지어(아래)를 착용하면 매력적인 가슴선을 만들 수 있다.  비비안 제공
한복을 입을 때 가슴을 위로 모은 다음 한복 치맛자락을 묶어주거나, 가슴컵 아랫부분에 패드가 들어 있는 브래지어(아래)를 착용하면 매력적인 가슴선을 만들 수 있다.
비비안 제공
결국 이다해는 남성 위주의 사극에서 볼거리를 제공한 셈이고 이는 ‘선덕여왕’의 고현정도 예외가 아니었다. 고현정은 드라마 촬영을 앞두고 제작진이 색공술을 발휘하는 장면에서 가슴골을 드러내자고 해 어떻게 나올지 걱정스럽다는 표정으로 인터뷰를 했다. 결국 고현정이 가슴골을 살짝 드러낸 요염한 한복을 입은 장면이 TV에 방영됐다.

‘추노’에서 이다해의 한복을 제작한 한복 디자이너 박술녀씨는 “한복은 원래 섹시한 옷”이라고 말했다. 서양의 미니스커트가 섹시한 옷이듯 한복도 원래 위가 살짝 비치는 요염한 옷이라고 설명했다. 또 이다해가 목선이 가늘고 길어서 한복의 고운 멋을 잘 살린다고 칭찬을 덧붙였다.

그렇다면 다가오는 설에 어떻게 한복을 입어야 이다해처럼 요염한 멋도 살리고 한복의 단아한 맛도 낼 수 있을까.

비비안 디자인실의 우연실 실장은 “한복에는 브래지어를 하지 않는 게 옷맵시를 더 살려준다는 말도 있지만 가슴의 모양이나 활동성을 고려해서 브래지어를 착용하는 것도 무방하다.”고 조언했다. 가슴이 많이 처진 경우라면 브래지어를 하는 것이 더 낫다는 말이다.

대한민국의 평범한 보통 여성도 이다해처럼 윗가슴을 위로 모은 다음 한복 치맛자락을 동동 묶어주면 대부분 글래머처럼 표현할 수 있다.

한복이 아닌 일반 옷을 입을 때, 볼륨 있는 가슴을 만들려고 흔히 ‘뽕브라’를 떠올리지만, 우 실장은 “가슴의 볼륨업이 단순히 밑가슴 둘레와 윗가슴 둘레의 차가 커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만은 아니다.”라며 “볼륨업이 자연스럽게 이뤄져 완만한 곡선의 실루엣을 그리는지, 유두가 바깥쪽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가슴을 잘 모아주는지, 목둘레선이 많이 파인 옷을 입었을 때 가슴 사이의 공간을 잘 살려주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가슴이 작은 경우에는 안에 패드가 있는 브래지어를 착용하면 볼륨업 효과를 볼 수 있다. 가슴 컵 자체가 두껍게 디자인된 브래지어는 전체적으로 가슴을 크게 보이게 만들어주고, 컵 아랫부분에만 패드가 들어 있는 제품은 가슴을 위쪽으로 올려준다.

몸에 맞지 않는 속옷을 오래 입어 가슴이 옆으로 벌어진 탓에 가슴골이 생기지 않는 경우에는 겨드랑이로 연결된 바깥쪽 가슴 지방을 안쪽으로 모아주는 사이드볼륨 강화 브래지어를 입어야 한다. 가슴이 처졌을 때는 와이어 아래쪽에 가슴을 지지해주는 별도 지지대가 있는 롱 브래지어를 입는다.

단 한복을 입을 때는 겨드랑이 부분으로 속옷이 드러날 수 있으므로 피부색과 비슷한 누드색의 무늬 없는 브래지어를 하고 흡습력이 좋은 면 소재의 캐미솔(소매 없는 여성용 내의)를 입어주는 것이 무난하다.

윤창수기자 geo@seoul.co.kr
2010-02-06 22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