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스트 브랜드 H&M 국내상륙

패스트 브랜드 H&M 국내상륙

입력 2010-02-13 00:00
업데이트 2010-02-1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7일 명동에 1호점 오픈

서울 명동이 망고, 유니클로, 자라, 포에버21에 이어 오는 27일 H&M의 상륙으로 세계 패스트 패션의 격전지가 될 전망이다. 1947년 스웨덴에서 선보인 글로벌 패션 브랜드 H&M은 명동2가 ‘눈스퀘어’에 1호 매장을 연다.

H&M 국내 매장은 총 4층에 면적 2600㎡로, 1·2층 여성복, 3층 남성복, 4층 아동 및 유아복으로 구성된다. 층별로 다른 색깔과 일러스트레이션 등을 사용해 차별화된 실내장식을 특징으로 했다. 속옷부터 액세서리까지 백화점처럼 한 매장에서 모두 살 수 있으며 패스트 패션답게 매일 새로운 상품이 공급된다.

패스트 푸드에서 유래한 패스트 패션 또는 소매 유통 겸업(SPA)이라고 불리는 브랜드들은 다품종 소량생산을 기본으로 생산 제품을 빨리빨리 바꾸어 내놓는다. 한스 안데르손 H&M 한국 지사장은 “H&M의 한국 매장이 남녀노소 모두 자기만의 스타일을 찾을 수 있는 서울의 대표적인 쇼핑 명소로 자리 잡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패스트 패션 브랜드들은 제품에 예술성과 고급스러움을 가미하려고 유명 디자이너들과의 협업 작업을 빼놓지 않는다. H&M도 마찬가지다. 올봄 H&M은 ‘니트의 여왕’이라 불리는 프랑스 디자이너 소니아 리키엘을 초대했다. 리키엘은 특유의 화려한 색상과 선 무늬가 돋보이는 니트 제품을 선보인다.

개장일인 27일에는 쇼핑객을 위한 다양한 행사도 열린다. 첫 번째 입장 고객과 2010번째 입장 고객에게 100만원 상당의 상품권 카드를 준다.

100번째부터 2000번째 고객 가운데 100단위 고객에게는 10만원 상당의 상품권 카드를 선물하며 개장일을 기념해 27, 127, 227 등 27단위 고객에게 27% 할인 쿠폰을 준다. 스웨덴의 유명 삽화가 루이자 버핏의 작품이 새겨진 티셔츠를 한정 제작, 선착순 입장 고객 500명에게 증정한다.

H&M은 35개 나라에서 2000여개의 매장을 운영 중이며 지난해 1186억크로나(약 19조원) 매출을 기록했다.

윤창수기자 geo@seoul.co.kr
2010-02-13 16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