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글로벌 대기업 입주 러시…‘황금 상권’이 뜬다

글로벌 대기업 입주 러시…‘황금 상권’이 뜬다

입력 2014-01-24 00:00
업데이트 2014-01-24 16: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천송도국제도시가 명실상부한 국제도시로서의 위상을 굳혀가고 있다. 최근 들어 각종 국제기구의 입주가 시작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외 글로벌 대기업들의 입주도 봇물을 잇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12월 GCF(UN 녹색기후기금)와 세계은행 한국사무소가 송도에 둥지를 튼 가운데 7월에는 코오롱글로벌 및 코오롱워터앤에너지가 송도로 본사를 옮겼다.

또한 37개국 890만 고객을 보유한 보안관련 전세계 1위의 다국적 기업인 ADT Caps도 지난 1월 10일 서울•경기 및 인천지역 31개지사 2천명을 지원•관리하는 수도권 광역본부를 송도 센트로드로 이전했다. ADT Caps는 이에 앞서 아시아 각국의 연구인력들의 트레이닝센터인 ADT Caps R&D센터를 송도로 이전 했었다.

현재 송도에 입주한 국내외 글로벌기업은 포스코건설과 코오롱 글로벌 등 모두 60개이다.

올해에도 기업들의 송도 입주는 계속된다. 우선, 오는 3월 포스코 계열사인 포스코엔지니어링이 1천200명이 근무하고 있는 본사를 이전할 예정이며 국내 최대 무역회사인 대우인터내셔널 역시 인천아시안게임 개최 시점인 9월께 동북아무역타워에 본사를 이전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올 한 해에만 2천500여 명의 인력이 송도에 들어올 예정이다.

이처럼 송도가 국내외 대기업을 포함한 세계적인 기업과 기구들의 잇따른 이전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는 가운데 일대 상권에도 훈풍이 불고 있다.

실제, 동북아무역타워를 비롯해 G타워, 포스코건설 사옥, 센트로드 등 기업들이 입주하는 오피스 빌딩과 인접한 ‘센트럴파크 상업시설’은 투자자들의 관심 속에 높은 분양률을 보이며 송도의 기업 이전에 따른 후광 효과를 톡톡히 누리고 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기업들의 본사 이전이 송도 상권 활성화에 촉매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며 “상주인구를 비롯해 외부 방문객 등 관련 종사자들의 지속적인 인구 유입이 이뤄진다는 측면에서 송도 상가 시장에 호재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했다.

투자자들의 높은 관심 속에 분양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포스코건설의 ‘센트럴파크 Ⅱ 상업시설 센투몰’은 상가 투자에 있어 중요한 배후수요가 탄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기업 이전에 따른 배후수요 확보는 물론 ‘그린워크 Ⅰ, Ⅱ’ 등의 공동주택 입주가 2015년까지 순차적으로 이뤄져 향후 약 1만여 세대의 배후주거수요 역시 형성될 전망이다. 이들 주거단지의 경우, 단지 내 상가 비중이 낮다는 점에서 센투몰의 경쟁력은 높다는 평이다.

상가 바로 맞은편에는 42만㎡ 규모의 센트럴파크가 위치해 있어 이를 찾는 대규모 유동인구를 흡수 할 수 있다. 평촌신도시나 분당 등 신도시의 중앙공원 주변 상가들이 풍부한 유동인구로 신도시내 주요 상권으로 부각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센투몰 역시 송도의 주요 상권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센투몰은 계약조건으로도 투자자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선임대 방식으로 상가활성화 기반이 마련돼 있어 안정적인 임대수익이 가능하다. 납입조건은 계약금 10%, 잔금 90%(계약 후 12개월)이며, 선납할 경우에는 최대 7.5%의 할인혜택을 적용 받을 수 있다.

또 2년 동안 총 10%의 임대 수익을 지원하며 이를 통해 투자자들은 무려 연 6~10%에 달하는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다.

센투몰은 연면적 3만6920㎡(1만1169평), 지상 1~3층, 3개 동, 총 200개 점포로 구성된다. 분양가는 1층 기준 3.3㎡당 평균 2,000만원 내외며 분양 홍보관은 센투몰 내에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