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령 현역배우 장민호·백성희씨 “그때 배웠지, 연극엔 편집이 없다는 것을”

최고령 현역배우 장민호·백성희씨 “그때 배웠지, 연극엔 편집이 없다는 것을”

입력 2011-03-11 00:00
업데이트 2011-03-11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73년 박 대통령 부부 앞에서 공연 때 무대 회전 안 돼 식은땀

“지난해 12월 극장 현판식 때 잠시 무대에 올라 연극 ‘파우스트’의 독백을 일부 했는데 60여년 연극 인생 가운데 그날이 가장 떨렸어. 객석에 누가 앉았는지도 몰랐을 정도이니…. 마치 20대 때 첫 무대에 올랐던 기분이었지. 잠깐 맛보기로 연극 대사 치는 데도 그렇게 떨렸는데 이번에는 정식 개관작품이야. 생각해 봐. 자기 이름이 붙은 극장 무대에 선다면 얼마나 긴장되겠어. 이번만큼은 연기가 아닌 무대에서 진짜 인생을 살 듯 공연하고 싶은 게 솔직한 심정이야.”

이미지 확대
쌀쌀한 날씨에도 장민호(왼쪽), 백성희씨는 “신문에 사진이 밝게 나와야 한다.”며 앞장서 ‘배경 좋은’ 붉은색 극장 담벼락 앞 벤치를 찾아 앉았다.  도준석기자 pado@seoul.co.kr
쌀쌀한 날씨에도 장민호(왼쪽), 백성희씨는 “신문에 사진이 밝게 나와야 한다.”며 앞장서 ‘배경 좋은’ 붉은색 극장 담벼락 앞 벤치를 찾아 앉았다.
도준석기자 pado@seoul.co.kr


며칠 전 감기에 걸려 몸이 좋지 않다며 짤막한 인터뷰를 주문하던 장민호(87)씨는 막상 인터뷰가 시작되자 20대 못지않게 힘이 넘쳤다.

옆자리의 백성희(86)씨는 “연출을 맡은 손진책 감독(국립극단 예술감독)이 연습 때 하도 혼을 많이 내 공연 때 정신 바짝 차려야 한다.”며 웃었다. 손 감독은 애써 못 들은 척했다.

두 사람은 자신들의 이름을 딴 백성희장민호극장(서울 서계동) 무대에 11일 개관작 ‘3월의 눈’을 올린다. 연습에 한창인 국내 최고령 남녀 현역배우를 극장에서 만났다.

●200편 이상 동반 출연… 20여편은 ‘부부 연기’

장씨가 먼저 “백 선생 눈치만 봐도, 냄새만 맡아도, 아니 숨소리만 들어도 난 그녀의 생각을 알 수 있다.”며 호탕하게 웃었다. 질세라 이어지는 백씨의 응수. “아무리 친해도 남녀가 유별한데 무대에서 포옹하는 게 어렵잖아. 근데 나는 장 선생님이라면 맘 놓고 포옹할 수 있고, 손도 쓰다듬을 수 있어. 이 남자, 내 손안에 있다니까.”

두 사람이 함께한 작품은 200편이 넘는다. 그 중 부부로 나온 작품만도 ‘백년 언약’ 등 20여편이다. 이번 ‘3월의 눈’에서도 노부부를 연기한다. “진짜 부부보다 더 끈끈한 관계”라며 두 사람은 또 한번 웃음을 터트린다. 아무리 오래 무대에 섰어도 기계가 아닌 지라 더러 실수도 한다는 두 사람. 하지만 상대가 대사를 잊었다 싶으면 ‘귀신같이’ 빨리 알아채고 메워 준다고. 60여년 무대 위 동고동락이 가져다준 노하우다.

이미지 확대
개막을 하루 앞두고 10일 언론에 공개된 ‘3월의 눈’. 손자의 빚 때문에 평생 살아온 한옥을 팔고 요양원으로 들어가는 장오(장민호)와 그런 남편 곁을 떠나지 못하는 이순(백성희)의 삶이 먹먹한 감동을 자아낸다.
개막을 하루 앞두고 10일 언론에 공개된 ‘3월의 눈’. 손자의 빚 때문에 평생 살아온 한옥을 팔고 요양원으로 들어가는 장오(장민호)와 그런 남편 곁을 떠나지 못하는 이순(백성희)의 삶이 먹먹한 감동을 자아낸다.


●상대가 대사 잊었다 싶으면 ‘귀신같이’ 메워줘

무대에 얽힌 우여곡절과 감동의 순간을 물어 봤다. 장씨는 수백편 출연작 가운데 1973년 서울 장충동 국립극장 개관 작 ‘성웅 이순신’을 절대 잊을 수 없다고 했다.

“우리나라에 그럴 듯한 극장이 처음 생겼으니 첫 공연에 당시 박정희 대통령 부부와 정·재계 인사들이 대거 참석했어. 잘 나가다가 글쎄, 맨 마지막 하이라이트 장면에서 무대가 돌아야 하는데 회전이 안 되는 거야. 대망신이었지. 그때 배웠어. 연극에는 편집이 없다는 것을.”

“그때를 생각하면 지금도 땀이 난다.”는 장씨는 “연극은 현장예술”이라는 말을 몇 번이고 강조했다. 그는 40년에 걸쳐 ‘파우스트’ 공연만 네 번 해 ‘파우스트 장’이란 별명도 갖고 있다.

백씨는 첫 데뷔무대를 가장 잊지 못한다고 말했다.

“1943년 극단 현대극장의 ‘봉선화’로 데뷔했는데 첫 무대 때 수많은 눈이 나만 바라봐서 객석이 너무 무서웠어. 전쟁터에 나가는 용사 심정이었지. 콧등에 땀이 얼마나 송송 맺히던지…. 첫 장면을 무사히 마치고 무대 뒤로 퇴장하는데 등에서 땀이 비 오듯 흘렀어.”

가장 힘들었던 작품은 1964년 국립극단의 연극 ‘만선’이란다. “기존 역할과 전혀 다른 색깔의 구포댁 역을 해야 했는데 정말 힘들게 공연을 마쳤어. 그런데 고생하고 노력한 만큼 대가가 오더라고. ‘만선’으로 백상예술상 제1회 여우주연상을 받았지. 변신을 시도한 첫 작품이면서 성과가 바로 이어진 작품이라 기억에 오래 남아.”

●“국립극단 법인화, 올 것이 왔다 싶었다”

‘한국 연극계의 산 증인’인 두 배우는 한국 연극사상 떠들썩한 사건이었던 ‘국립극단 법인화’를 어떻게 볼까. 국립극단은 지난해 8월 법인으로 전환하면서 장씨와 백씨, 두 원로 배우만 빼고 모든 단원을 내보냈다. 잠깐의 침묵 뒤에 백씨가 입을 열었다. “국립극단이 철밥통이다 뭐다 말들이 많았는데 솔직히 (1973년) 장충동으로 온 뒤 한동안 공무원들이 자리를 꿰차고 있었어. 그러니 연극에 발전이 없었지. 한번쯤 개혁이 있어야 마땅하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던 지라 (법인화 당시) 올 것이 왔구나 싶더라고. 중요한 건 이제부터 앞으로 얼마나 잘해 나가느냐야.”

그때 국악인이자 배우인 김성녀(61) 중앙대 교수가 예고 없이 등장했다. 그는 손진책 감독의 부인이기도 하다. 두손엔 떡 상자가 들려 있었다. “두분 선생님, 여전히 너무 곱고 멋지세요. 응원차 들렀어요. 떡 좀 드세요.” 떡을 안기는 60대 김 교수도, 떡을 받아든 80대 두 배우도 마냥 들뜬 신인들 같았다.

1시간 넘게 이어진 인터뷰 탓에 지칠 만도 한데 노() 배우의 표정에 ‘피곤’이란 단어는 없었다. 영하 3도의 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신문에 실릴 사진이 밝게 나와야 한다.”며 바깥 촬영을 강력히 주장하는 두 사람. 진정한 프로의 기(氣)가 어떤 것인지 생각하게 했다. 공연은 오는 20일까지다.

김정은기자 kimje@seoul.co.kr
2011-03-11 19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