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매하듯 생닭·오리 판매…이동중지명령 ‘혼선’

밀매하듯 생닭·오리 판매…이동중지명령 ‘혼선’

입력 2014-01-20 00:00
업데이트 2014-01-20 16: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시 이동제한조치에도 불구 광주지역 생닭·오리 판매

호남지역에 발효된 일시이동중지명령(Standstill)과 농림축산검역본부의 ‘조류인풀루엔자 긴급행동지침’에 따라 생닭·오리 판매업소에 영업중지가 권고되고 있다.

그러나 광주 지역 일부 생닭·오리 판매업소에서 가금류의 도축과 판매가 여전히 이뤄지고 있다.

관리·감독책임이 있는 지자체는 이 사실조차 까맣게 모른 채 ‘영업중지 권고’가 잘 이행되고 있다고 상급기관에 보고하기도 했다.

20일 오전 광주 서구 양동시장 닭전머리. 생닭·오리 판매점 10여 곳이 밀집해 있는 이곳의 가게들은 오전 일찍부터 가게 문을 열고 있었다.

협회에서 생닭과 오리를 판매하지 말라고 지침이 내려갔는데 가게 문을 왜 열었는지 묻자 “오전에 소독이 있어 청소하려고 열었다”고 한 상인은 태연하게 둘러댔다.

그러나 가게 셔터를 반쯤만 연 가게의 내부에서는 여전히 생닭과 오리의 도축이 이뤄지고 있었다.

암거래하듯 현금을 받은 상인은 가게 뒤편으로 손님이 직접 고른 살아 있는 오리를 들고 가 도축 판매했다.

상인 일부는 망을 보듯 주변을 살피더니 급하게 손질하던 닭과 오리의 부속물을 물로 씻어내 버리고 가게 셔텨문을 내려버렸다.

한 상인(60)은 20㎞ 떨어진 먼 곳에서 일부러 생오리를 사러온 손님에게 명함을 쥐여주고 돌려세우며 한숨을 내쉬었다.

그는 영업을 하는 옆 가게를 씁쓸한 눈으로 지켜보며 “먹고살려고 몰래 닭 잡는 가게들이 몇 곳 있다”며 “어쩔 수 없이 장사를 안 하고 있긴 하지만 두 번 손해 보는 느낌이다”고 말했다.

공교롭게 이날 해당 전통시장에는 김한길 민주당 대표 등이 불과 100여m 떨어진 곳에서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더 이상 AI가 확산되지 않도록 분명한 차단 조치와 방역 조치를 해줄 것”을 촉구하기도 했다.

그러나 상시 관리감독을 해야 하는 지자체는 ‘스탠드스틸’ 조치가 구멍이 뚫린지 파악조차 못 하는 실정이다.

광주시 담당공무원은 “각 구청으로부터 생닭·오리 판매업소 점검 결과 아무 이상이 없다는 보고를 받았다”며 “일선 구청에 현장에 나가 다시 점검하도록 지시하겠다”고 해명했다.

그는 “사실 전통시장내 가금류 도축·판매는 원래 음성화된 불법행위”라며 “강제로 막을수 없는 실정이다 보니 협회차원으로 협조요청했으나 잘 지켜지지 않는 것 같다”고 말했다.

정부의 일시 이동중지 명령을 어기면 관련법에 따라 500만원 이하 벌금, 1년 이하의 징역형에 처해질 수 있다.

한편 이날 광주 북구 유동 일명 ‘오리탕 골목’의 식당들도 줄어든 손님에 울상을 지었다.

이곳에서 오리탕 식당을 운영하는 김동인(49)씨는 “오늘 점심 예약이 갑자기 2건 취소되는 등 점점 손님이 줄어들고 있다”며 “지난 2008년과 2011년 AI 파동이 재연될까 봐 벌써부터 걱정이다”고 털어놨다.

김씨는 당시에는 하루에 한 마리 팔린 적도 있었다며 끓여 먹으면 안전하다는 내용을 널리 알려줬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