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로 확산되는 오미크론… 열흘 만에 40여개국서 발견
美 첫 보고 후 사흘 만에 12개주 확산
보건당국 “지역사회 감염 이미 시작”
노르웨이 접종자 100명 중 17명 감염
백신 맞은 건강한 성인들은 중증 없어
WHO “고령층에 끼칠 영향 분석 필요”
5일 외신을 종합하면 이날까지 40여개국에서 오미크론 확진자가 보고됐다. 미국에서는 지난 1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주에서 첫 감염자가 나온 이후 사흘 만에 12개 주로 확산돼 보건 당국은 지역사회 감염이 이미 시작됐을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칠레와 룩셈부르크, 잠비아에서도 4일 오미크론 확진자가 보고됐다.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는 오미크론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돼 남아공 국립감염병연구소(NICD)에 따르면 4일 하루 동안 총 1만 6366명이 오미크론 변이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 남아공이 세계보건기구(WHO)에 오미크론 변이를 보고한 지난달 25일(2465명)보다 6.6배 급증한 것이다.
세계 과학계와 보건의료계가 오미크론 변이 연구의 속도전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학계에서는 오미크론 변이가 ▲강한 전파력 ▲면역 회피 가능성 ▲비교적 가벼운 증상 등의 특성을 가졌다는 데 힘을 싣고 있다. 마이크 라이언 WHO 비상팀장은 “오미크론 변이가 델타 변이보다 더 전염성이 높을 수 있다”고 말했다.
미국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미국 바이오메디컬 정보 분석업체 엔퍼런스(Nference) 연구진은 오미크론 변이가 감기 바이러스와 유전자를 공유하고 있어 빠르게 확산될 수 있다는 내용의 논문을 공개했다. 연구진은 오미크론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감기를 유발하는 바이러스의 유전자 코드가 발견됐으며, 오미크론 변이가 코로나19를 일으키는 바이러스인 ‘SARS-CoV-2’와 감기를 유발하는 바이러스인 ‘HCoV-229E’에 동시에 감염된 사람에게서 처음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논문의 공동 저자인 벤키 순다라라잔은 “오미크론 변이와 HCoV-229E가 현저한 유사성을 지닌다”면서 “오미크론 변이가 인간 숙주에 익숙해 사람들을 더 잘 감염시킬 수 있다”고 추정했다.
그러나 남아공을 비롯해 감염자의 증상에 대한 분석이 주로 젊은 연령층을 표본으로 이뤄졌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는 반론도 나온다. 지역사회 확산이 본격화되면 영유아나 고령층, 기저질환자에게 끼칠 영향을 단정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마리아 판 케르코베 WHO 기술팀장은 오미크론의 증상이 경미하다는 분석에 대해 “정확히 파악하려면 좀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고 선을 그었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