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수량 줄어 20년 만에 호수가 사막으로”

“저수량 줄어 20년 만에 호수가 사막으로”

입력 2011-07-26 00:00
업데이트 2011-07-26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막화 방지 전문가 쩡바이위 에코피스아시아 中 자문위원

쩡바이위(63) 에코피스아시아 중국 자문위원은 문화대혁명이 한창이던 1968년, 스무살의 나이에 아바가기 훙치가차(중국 행정구역상 촌에 해당)에 하방(下放·지식청년들의 농촌활동)되면서 차간누르 호수와 인연을 맺었다. 이곳에서 13년 동안 목축민들과 함께 생활한 뒤 1981년 베이징으로 돌아가 중국 중앙정부 경공업부에서 근무했다. 1999년에 은퇴한 그는 다른 일자리를 포기한 채 ‘제2의 고향’이 돼 버린 훙치가차로 돌아와 차간누르 호수의 사막화 방지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다음은 그와의 일문일답.

이미지 확대


→차간누르 호수 사막화의 심각성은 언제부터 느꼈나.

-1999년 은퇴한 뒤 이 지역을 계속 찾았는데 차간누르 호수가 말라가는 것을 눈으로 지켜보면서 그 심각성을 절실하게 느꼈다. 1992년과 1996년에 이곳을 찾았고, 1998년 이후에는 매년 방문했는데, 확실히 내가 이 지역을 떠난 1980년대 초반 이후 저수량이 크게 줄었다. 내가 이 지역에서 생활할 때는 호수 위에 배를 띄우고 7~8m 정도 되는 노를 저어도 밑바닥에 닿지 않았다. 그러나 2000년 이후에는 수심이 1m도 되지 않았고, 2001년에는 무릎까지도 차지가 않았다. 그러다 2002년에 호수가 말라들면서 사막화를 심각하게 우려하게 됐다.

이미지 확대


→사막화 방지사업 초반에 시행착오는 없었는지.

-차간누르 호수의 사막화를 방지하겠다고 결심한 뒤 처음 벌였던 사업이 나무 심기다. 2000년 한 미국 기업의 후원으로 차간누르 호수에 포플러 나무를 심었는데, 2년이 지나고 나니 다 말라 죽어버렸다. 이 지역이 나무가 자랄 수 없는 초원 지대라는 점을 간과했던 것이다. 그때 얻은 교훈이 환경보호 활동을 할 때는 현지 자연환경의 조건을 이해하고 이를 고려해 사업을 진행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호수가 완전히 말라버린 이후에 전문가들과 함께 이 지역을 답사하면서 현지의 자생식물인 감봉이 사막화 방지에 적절하다는 말을 들었고, 2003년부터 감봉을 파종하기 시작했다.

→최근 한국의 민간단체나 기업 등이 중국과 몽골에서 나무심기 사업을 벌이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몽골이나 중국의 입장에서는 나무가 뿌리를 내려 흙과 모래를 붙잡아 준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한국의 입장에서 보면 별로 이득이 될 게 없을 것이다. 나무를 심어서 비산을 막을 수 있는 입자는 비교적 크고 무거운 입자인데, 정작 이러한 입자는 바람이 불어도 한국까지 날아가지 않는다. 이보다 더 작고 가벼운 입자들은 상공 1000m까지 날아올라 한국에 황사 피해를 입히지만, 이런 입자들은 나무를 심는다고 해서 효과적으로 막을 수 없다.

2011-07-26 27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