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한류, 모두가 주인 되자] 아이돌 댄스 집중땐 ‘거품’ 우려…인디음악까지 두루 소개돼야

[한류, 모두가 주인 되자] 아이돌 댄스 집중땐 ‘거품’ 우려…인디음악까지 두루 소개돼야

입력 2012-01-02 00:00
업데이트 2012-01-0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개선점은

#장면1. 지난 7월 영국 런던 중심가 트라팔가 광장에 약 300명의 K팝 팬이 모여 YG엔터테인먼트 가수들의 영국 공연을 요구하는 플래시몹을 벌였다는 보도가 나왔다. YG 측이 보도자료를 뿌려 알려진 것. 하지만 유튜브 동영상으로 공개된 현장에는 수십명이 보일 뿐이었다. 당시 주영 한국문화원도 참석자가 1400여명으로 추산된다고 전했지만, 결론적으로 과도한 K팝 띄우기였다.

#장면2. 지난 8월 미국의 대표적인 음악전문지 빌보드가 K팝 차트를 신설했다. 일부 언론들은 미국 주류음악계가 K팝의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해 아시아에서 일본에 이어 두 번째로 만들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하지만 K팝 차트 신설은 국내 음악시장 현황을 집계해 전 세계에 공개한다는 의미,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터키와 브라질은 우리보다 앞서 자국 차트를 빌보드에 게재했다.

K팝 한류가 확산되는 과정에는 하나의 패턴이 존재한다. 아이돌 그룹을 키워낸 대형기획사가 자가발전을 하면, 일부 언론에서 확대 재생산을 한다. K팝의 열기에 숟가락을 얹으려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해외 주재 한국문화원 등도 ‘거품’을 키우는 데 한몫했다.

K팝 한류가 유럽에서 사회·문화적인 현상으로 도드라졌다면 현지 언론을 통해 국내로 전해지는 게 일반적인 방식이다. 하지만 지난 6월 SM의 파리 공연 때도 프랑스 주류 언론은 음악적 리뷰를 내놓지 않았다. 런던 플래시몹도 영국 언론의 관심 밖이었다. 유럽 언론과 평론가들 사이에서 ‘브릿팝’(영국의 팝음악), ‘J팝’(일본의 대중음악)처럼 실체를 지닌 K팝의 면모를 찾기란 쉽지 않다는 얘기다.

물론 유럽과 북미, 남미 등 아시아 밖에서도 K팝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강렬한 전자음의 중독성 강한 후크송(되풀이 후렴구), 현란한 집단 군무(群舞), 조각 같은 외모와 미끈한 몸매의 아이돌 그룹이 10대 취향 음악에 목마른 해외 트렌드의 변화와 맞아떨어졌다.

하지만 K팝 한류가 겨우 싹을 틔우는 단계란 점을 냉정하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 꽃을 피우고, 단단한 뿌리를 내리기까지 안정적인 콘텐츠의 공급 외에도 수많은 변수를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 일찌감치 샴페인을 터뜨려서는 곤란하다.

한동윤 대중음악평론가는 “대형기획사들이 팝음악 시장의 트렌드 변화를 영리하게 간파했고, 유럽이나 미국의 10대들에게 댄스음악 장르의 일부로 먹히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K팝이 현지 시장의 주류가 됐다거나, 탁월한 음악성으로 승부를 봤다거나 등등 지나치게 국위 선양적인 관점에서 정부나 언론이 여론을 몰아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어 “아이돌 위주의 획일적인 콘텐츠 공급이 이어진다면 K팝 한류는 아이돌 그룹의 인기가 사그라질 무렵, 그러니까 5년 정도면 물거품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박은석 대중음악평론가도 “방송 등 미디어가 호들갑을 떠는 K팝 한류란 냉정하게 말하면 일부 대형기획사의 아이돌 그룹이 유럽권 등의 10대 음악 시장 일부를 차지한 것일 뿐”이라고 잘라 말했다.

그는 “마치 그 나라 주류 시장을 석권한 것처럼 말하는 건 언어도단이자 지나친 띄우기”라며 “K팝 한류를 지속적으로, 폭넓게 가져가기 위해서는 댄스음악만으로는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인디 음악까지 한국의 대중음악이 두루 소개되고, 시장에 진입하는 여건이 만들어져야 한다는 주장이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2012-01-02 3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