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보기의 책보기] 읽으면 ‘깨시민’으로 거듭나는 책

[최보기의 책보기] 읽으면 ‘깨시민’으로 거듭나는 책

입력 2024-02-13 17:22
업데이트 2024-02-13 17: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우세한 책들』  장윤미 지음 / 사람in
『우세한 책들』
장윤미 지음 / 사람in
글이 안 읽히고 문장이 낯선 시대다. 디지털, 원격 소통의 텍스트는 그림(이모티콘), 사진, 동영상이 글보다 대세다. 독서가 줄어드는 만큼 서평의 공간도 좁아지는 것이 당연하다. 그럼에도 끈질기게 서평을 쓰는 이유는 책과 독서가 여전히 개인과 사회 발전에 필요조건이라는 신념 때문이다.또한 매주 서평을 기다리는 애독자가 최소 백만 넘어 한 명이 있음을 알기에 그 사람을 위해 나는 쓴다.

세상의 모든 책을 다 읽을 수는 없다. 아무 책이나 읽는 것은 안 읽는 것보다는 좋으나 체계적이지 못하다. 문화평론가이자 소설가로서 책 읽는 작가, 고급 독자를 지향하는 장윤미 박사(국문학)는 한 권의 책을 읽는다는 것은 새로운 세계와 만나는 일, 지도 한 장 없이 낯선 길에 들어서는 일이라 독자에게 안내지도·보물지도를 주기 위해 ‘우세한 책들’을 펴냈다.

저자의 관심은 주로 ‘우리 사회의 한계와 문제점 분석’인데 특히 ‘여성, 장애, 돌봄, 계급’ 등 사회적 약자와 관련된 문제에 천착(穿鑿)한다. 익숙하고 당연하다고 여겼던 것들에 파괴적 질문을 함으로써 새로운 깨우침을 얻게 한다. 우리가 지금 어떤 세상을 살고 있는지 각성하게 한다. ‘깨어있는 시민’(깨시민)으로 거듭나는 것이다. 선진국에 안착하려면 이 층이 두껍고 탄탄해야 한다.

모두 27권의 책을 소개한다. ‘있지만 없고, 없지만 있는 사람들’은 나는 숨지 않는다(박희정 외), 어쩌면 이상한 몸(장애여성공감), 있지만 없는 아이들(은유), 노동에 대해 말하지 않는 것들(전혜원)을 읽으며 ‘차별’을 각성한다. ‘사는 집이 계급이다’는 타인의 집(손원평), 순례주택(유은실), 서영동 이야기(조남주), 친애하는 나의 집에게(하재영)를 읽으며 집(House)과 가정(Home)이 갖는 사회적 의미를 분석한다. 물론, ‘우세한 책들’만 읽어도 27권이 제기하는 사회문제는 충분히 공감된다. 27권 중 대충 고른 듯한, 만만한 책은 한 권도 없다.

최보기 북칼럼니스트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