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은 끊는 게 답?… 얼마나 의존하는지 자가진단이 첫걸음 [안녕, 스마트폰]

스마트폰은 끊는 게 답?… 얼마나 의존하는지 자가진단이 첫걸음 [안녕, 스마트폰]

김예슬 기자
입력 2024-08-06 01:59
수정 2024-08-06 02: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문가가 말하는 올바른 거리 두기

이미지 확대
스마트폰 중독을 해결하겠다고 무턱대고 사용을 억제하면 부작용이 뒤따른다. 중독 사실 자체를 인지하지 못할 수도 있어서 먼저 의존도를 진단하고, 이후 ‘맞춤형 거리 두기’가 필요하다. 정신의학과 전문의, 심리학과 교수, 상담센터 활동가 등 전문가 14명에게 ‘현명한 스마트폰 사용을 위한 디지털 디톡스 방법’을 물어봤다.

우선 자가진단을 통해 과의존의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 파악해야 한다. 10문항으로 구성돼 있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스마트폰 과의존 자가 진단에서 29점 이상(성인 기준)이면 고위험군, 24~28점은 잠재적 위험군, 23점 이하면 일반 사용자로 분류된다.

고위험군에 속한다면 자신의 건강 상태부터 확인해야 한다. 고위험군은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통제력을 잃어 일상과 건강이 위협받는 상황에 놓인 경우가 많다. 우울증이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와 같은 ‘공존 질환’을 앓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는게 전문가들 설명이다.

한덕현 중앙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상담받으러 오는 사람 중 95~97%는 공존 질환을 앓고 있다”며 “이럴땐 스마트폰 사용만 줄여선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될 수 없다”며 “질환에 대한 치료와 일상적인 생활 복귀를 돕는 상담이 동시에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때 ‘자정 이후에는 스마트폰을 보지 않는다’와 같은 실현 가능한 간단한 규칙을 정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 규칙이 어느 정도 지켜지면, 시간표를 짜 생활 방식을 완전히 바꿔야 한다.

잠재적 위험군은 스마트폰에 쏟았던 시간을 대신할 수 있는 활동을 찾는 게 중요하다. 전문가들은 이상적인 활동으로 운동이나 타인과의 교류를 추천했다. 최치현 서울 알파 정신건강의학과 원장은 “운동을 포함한 신체 활동이나 타인과 교류하는 활동이 가장 적절한 형태의 대안”이라고 설명했다. 운동은 신경화학물질인 도파민 외에도 세로토닌 등 생성을 증가시켜 기분 전환을 유도한다. 근육 세포가 수축하면서 나오는 화학 신호는 뇌의 인지능력을 개선해 준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이미지 확대
이문수 고려대 구로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운동이 어려운 노인층은 또래와의 교류 시간을 늘리거나 지역사회 활동에 참여하는 방법으로 스마트폰 과의존을 완화할 수 있다”고 했다. 이 외에도 식물을 키우거나 요리, 청소 등 집 안에서 할 수 있는 활동을 늘려가는 것도 효과적이다.

일반 사용자라고 해도 중독의 위험은 경계해야 한다. 전문가들은 ‘디지털 웰빙’, ‘스크린 타임’ 등 스마트폰 관리 앱을 통해 정기적으로 스마트폰 이용 시간이나 자주 사용하는 앱을 확인하는 것을 권장했다. 게임이나 자주 사용하지 않는 앱, 혹은 장시간 사용하는 앱 등을 파악해 관리할 수 있어서다. 심용출 청소년인터넷드림마을 기획운영부장은 “스마트폰을 얼마나 사용하는지 스스로 인지하고, 적절한지를 되묻는 것만으로도 사용을 절제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고 말했다.
2024-08-06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