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관리비 납부·청약통장 개설처럼 사소한 데서 막막… “생활밀착형 교육을”

관리비 납부·청약통장 개설처럼 사소한 데서 막막… “생활밀착형 교육을”

장진복 기자
장진복, 조희선 기자
입력 2022-03-29 22:16
업데이트 2022-03-30 02: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실질적으로 필요한 지원은

정착금 탕진·사기당하는 경우도
살아갈 수 있는 방법 가르쳐줘야

이미지 확대
아동양육시설(보육원)을 퇴소한 보호종료아동은 당장 생활비부터 주거 문제까지 수많은 난관에 부딪힌다. 특히 이들은 관리비를 어떻게 내야 하는지, 청약통장은 어떻게 만드는지 등과 같은 일상생활의 사소한 부분에서조차 막막함을 느낀다. 정부가 지난해 7월 보호기간 연장 등을 골자로 하는 ‘보호종료아동 지원강화 방안’을 발표한 가운데 생활밀착형 자립 교육과 지원이 확대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29일 서울신문이 만난 보호종료아동들은 고지서 납부, 세탁기 고장 등 예기치 못한 다양한 상황에서 애를 먹었다고 입을 모았다. 보호종료아동 박강빈(24)씨는 “취업을 해서 돈은 넉넉하게 있었지만 수도요금 고지서를 받고도 내야 하는지를 몰랐다”며 “어느 날 물이 안 나와 알고 봤더니 수도요금이 밀려서였다. 당시엔 이러다 신용불량자가 되는 것 아닌지 걱정이 앞섰다”고 말했다. 조규환(23)씨는 “모르는 게 많은데 누구한테 도움을 청해야 할지 막막했다”며 “새벽에 아파 응급실에 가야 했는데 병원비가 얼마가 나올지 몰라 비상약을 먹고 버틴 적도 있다”고 털어놨다.

앞서 정부는 보호아동 본인이 원하면 만 18세에 자립하지 않고 만 24세까지 보육원에 머무를 수 있도록 제도를 바꿨다. 그럼에도 보호아동 대부분은 집단생활을 마치기 위해 자립을 선택한다.

경제관념이 부족해 500만원인 자립정착금 등을 금새 써 버리는 경우도 적지 않다. 경기도의 한 보육원 총무팀장으로 일하는 안재영(38·가명)씨는 “아이들은 자기 이름 앞으로 모아진 돈(후원금과 자립정착금 등)을 하루빨리 찾고 싶어하지만, 경제관념이 없어서 흥청망청 쓰는 경우가 적잖다”고 말했다. 그는 “자립을 해도 멀리 못 가고 보육원 인근에서 지내면서 일종의 ‘퇴소생 네트워크’의 꾐에 넘어가 사기를 당해 뒤늦게 연락이 오는 경우도 있었다”고 전했다.

이에 보호대상아동을 대상으로 이뤄지고 있는 자립 관련 교육 프로그램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보호종료아동 차민솔(24)씨는 “부모님이 안 계시다 보니 사소한 것들을 가르쳐 줄 사람이 없다”며 “정부가 단순히 금전 지원을 해 주는 데 더해 관리비는 어떻게 내고, 적금은 어떻게 하는지 등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을 가르쳐 주는 게 가장 절실하다”고 했다.

보호아동 스스로의 의지도 중요하다. 안씨는 “보호아동들을 옆에서 지켜보니 자립을 곧 닥칠 현실로 받아들이지 않는 경향이 강하다”며 “세탁기를 돌리는 방법을 알려 줘도 시설에서 다 해 주니까 ‘나중에는 혼자 해야 해’라는 말이 와닿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장진복 기자
조희선 기자
2022-03-30 10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