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선택! 역사를 갈랐다] <7>정몽주와 권근

[선택! 역사를 갈랐다] <7>정몽주와 권근

입력 2012-04-09 00:00
업데이트 2012-04-0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려 개혁 핵심인물 조선 건국에 반대하다 vs 혁명파의 탄핵 표적 새 성리학 왕조 일구다

신돈의 실각과 공민왕이 추진하던 개혁의 실패 이후 고려는 심각한 위기 상황을 맞이하였다. 공민왕이 측근에 의해 예기치 못한 죽음을 당하고 뒤를 이어 즉위한 우왕은 11살에 불과한 어린아이였다. 그 결과 고려의 국정은 우왕을 옹립한 권신들에 의해 좌우되었고, 국왕의 권위는 크게 추락하였다. 사회·경제적으로는 권세가들의 탈법적인 토지 겸병과 농장 운영으로 인해 자영농민들이 토지를 잃고 소작농이나 노비로 전락하는 등 민생이 크게 피폐해졌다. 여기에 빈번한 자연재해의 발생, 홍건적과 왜구의 잦은 침입 등은 고려의 정치와 민생을 더욱 악화시켰다. 이처럼 14세기 후반의 고려는 국정의 난맥상과 사회 혼란이 극에 달한, 총체적인 위기 상황이었다. 이에 정권을 장악한 소수의 권신들을 제외하면, 대다수의 사람들이 개혁의 필요성에 공감하였다. 특히 성리학 이념으로 무장한 신진 유학자들의 개혁에 대한 열망은 매우 컸다.

이미지 확대
정몽주는 역성혁명을 반대하고 고려 개혁을 추진하다 이성계와 대립했다. 권근 또한 초기엔 고려의 체제 유지를 옹호했지만 결국엔 이성계를 뒷받침했다. 사진은 조선 태조 이성계의 어진.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정몽주는 역성혁명을 반대하고 고려 개혁을 추진하다 이성계와 대립했다. 권근 또한 초기엔 고려의 체제 유지를 옹호했지만 결국엔 이성계를 뒷받침했다. 사진은 조선 태조 이성계의 어진.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1388년 1월, 이인임 세력의 실각은 고려 사회의 개혁 가능성에 한 줄기 희망을 비춰주었다. 그리고 같은 해 5월, 요동정벌을 위해 출정했던 이성계가 위화도 회군을 단행하면서 개혁에 장애가 되었던 세력들이 모두 제거됐다. 요동정벌을 반대하고 안정적인 대명(對明) 관계를 추구했던 신진 유학자들은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을 지지했으며, 그와 손잡고 정치·사회의 개혁을 본격적으로 추진하였다.

문제는 개혁을 어느 수준까지 추진할 것인가였다. 개혁의 필요성에는 모두 동의했지만 무엇이 적절한 개혁인가에 대해서는 각자의 정치적 입장에 따라 생각이 달랐기 때문이었다. 고려의 정치와 제도에 대한 ‘전면적 개혁’을 요구했던 세력이 있는가 하면, 다른 한편에서는 고려 구례의 제도를 유지하는 가운데 권문세족들의 전횡으로 초래된 폐단들을 ‘개선’하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주장했다.

개혁을 둘러싼 노선 분열은 많은 학자들에게 어느 한쪽을 선택해야만 하도록 만들었다. 그리고 그들의 선택은 이색이나 정도전처럼 처음부터 끝까지 변함없는 경우도 있지만, 때로는 정치적 상황의 변화에 전혀 새로운 양상으로 바뀌기도 했다. 대표적인 경우가 바로 정몽주와 권근의 선택이다.

●정몽주의 선택:전면 개혁서 반혁명으로

이미지 확대
정몽주
정몽주
일반적으로 정몽주는 마지막까지 고려를 지키다가 목숨을 바친, 충절의 상징으로 알려져 있다. 물론 그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정몽주가 누구보다도 강력하게 고려의 전면적 개혁을 추구했고, 이를 위해 이성계·정도전 등과 정치적 입장을 같이했던 사실은 그다지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정몽주는 청년 시절부터 정도전, 이성계와 절친한 사이였다. 정몽주는 1360년에 정도전을 처음 만난 이후 학문적 동지로서 깊이 교유했으며, 1375년에는 이인임 등의 대원(對元) 외교 재개에 반대하는 상소를 함께 올리는 등 정치적 입장도 같이했다. 또 이성계와는 1364년 2월 여진과의 전쟁에 종군했을 때 처음 만나 교유를 시작했고, 특히 1380년과 1383년에도 이성계 부대에 조전원수(助戰元帥)로 종군하면서 전우로서 생사고락을 함께했다.

정몽주와 이성계, 정도전 등의 인간적 유대 관계는 우왕대 중반 이후 정치적 동지 관계로 발전했다. 이인임 등 권문세족의 전횡으로 정치·사회적 혼란과 민생의 피폐가 극에 달하자 세 사람은 이를 개혁하는 데 함께하기로 의기투합했던 것이다. 즉, 정몽주의 처음 선택은 고려의 정치·사회에 대한, 과감하고 전면적인 개혁이었다.

정몽주가 이성계, 정도전과 함께 개혁에 동참한 것은 1388년 5월 위화도 회군 이후 그의 행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같은 해 8월 정몽주는 문하평리(門下評理)에 임명되었고, 이후 예문관 대제학(藝文館 大提學),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등 정부 요직을 계속 담당하였다.

정몽주가 창왕 폐위와 공양왕 옹립을 주도했던 것도 그가 개혁 세력의 핵심 인물이었음을 잘 보여 준다. 창왕이 개혁 추진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자 1389년 11월에 이성계 등은 우왕과 창왕이 공민왕의 자손인 아니라 신돈의 자손이라는 명분을 내세워 창왕을 폐위하고 공양왕을 새 왕으로 추대했다. 이때 공양왕 추대를 주도한 9명이 공신으로 책봉되었는데, 그 9명 중 한 사람이 바로 정몽주였다. 개혁에 걸림돌이 되는 왕을 폐위하는 데 앞장설 만큼 정몽주는 고려의 개혁을 열렬히 염원하였다.

하지만 정몽주와 이성계, 정도전 등이 생각했던 개혁의 최종 목표는 서로 달랐다. 정몽주가 개혁을 추진한 궁극적인 목표는 고려를 백성들이 살기 좋은, 건강한 나라로 만드는 것이었다. 즉, 고려의 체제를 유지하는 것이 기본적인 전제였다. 반면 이성계와 정도전 등은 고려가 유지되는 한 완전한 개혁은 불가능하다고 판단했고, 따라서 새로운 나라를 건립하는 역성혁명 추진을 본격화하였다.

개혁에는 동의했지만 왕조 교체는 용납할 수 없었던 정몽주는 이제 새로운 선택을 할 수밖에 없었다. 그것은 이성계 세력과 결별하고 그들이 추진하는 역성혁명을 막아냄으로써 고려를 지키는 것이었다. 그 결과 정몽주는 개혁 세력에서 이탈하여 반혁명 세력의 선봉으로 변신하였다. 이후 정몽주는 고려의 명운을 지키기 위해 이성계, 정도전 등 혁명 세력과 치열하게 대립하였고, 끝내는 이방원이 보낸 자객에 의해 피살당하는 비운을 맞이하였다.

●권근의 선택:저항에서 참여로

이미지 확대
권근
권근
권근은 조선 초기 국가의 학술 정책을 총괄하면서 교육과 인재 선발의 각종 제도를 마련했으며, 또 성리학과 경학(經學)에 대한 여러 저술들을 남김으로써 고려 말~조선 초의 학문적 수준을 한 단계 발전시킨 학자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것만 보면 새 왕조 건설에 참여하는 것이 고려 말 권근의 선택이었던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실제로 고려 말에 권근이 처음 선택했던 길은 참여가 아니라 역성혁명에 대한 저항이었다.

권근이 저항의 길을 선택한 데에는 스승 이색의 영향이 컸다. 이색은 고려 말 유명무실했던 성균관을 실질적인 교육 기관으로 재정비함으로써 학자 양성과 성리학 진흥에 힘썼던, 신진 유학자들의 정신적 지주였다. 그런 이색이 이성계, 정도전 등이 주도한 개혁 조치에 대해 선왕대의 법을 경솔히 고칠 수 없다는 이유로 반대하면서 고려의 체제 유지에 앞장서자 많은 학자들이 그의 노선을 따랐다. 권근도 그중 한 사람이었다.

권근은 조준이 주도한 사전개혁 논의에서 이색의 입장에 동조하여 반대 의견을 피력했다. 또 1389년에는 명나라 사행(使行) 과정에서 명나라의 외교 문서에 우왕을 신돈의 아들로 인정하여 창왕의 정통성을 부정한 내용이 있음을 미리 알아내고는 이를 우왕의 측근들에게 먼저 알려서 대책을 세우도록 했다. 그리고 온건 개혁을 주장했던 동지이자 절친한 친구인 이숭인이 이성계 세력으로부터 탄핵을 받자 상소를 올려 그를 옹호하였다.

이상과 같은 일련의 행적으로 인해 권근은 혁명파의 탄핵 표적이 되었다. 결국 1389년 10월 유배의 길에 오르게 되었다. 1년여의 유배 생활이 끝난 후에도 권근은 정계에 복귀하지 못한 채 충주의 양촌에서 은거 생활을 하였다. 그리고 은거 기간 중에 권근이 지키려 했던 고려의 역사는 막을 내렸고 새 나라 조선이 건국되었다.

조선의 건국은 권근에게 새로운 선택을 요구했다. 고려의 멸망을 돌이킬 수 없는 현실에서 권근이 선택할 수 있는 길은 두 가지였다. 하나는 끝까지 고려에 대한 절의를 지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새 왕조에 출사하여 자신의 학문과 경륜을 펼침으로써 나라와 백성들의 안정에 기여하는 것이었다.

권근은 후자를 선택했다. 출사 이후 그는 자신의 학문적 능력을 발휘하여 왕권의 안정을 이론적으로 뒷받침했으며, 명나라 사행을 통해 위기에 봉착했던 조명(朝明) 관계를 정상화시켰다. 또 국학 교육과 인재 양성을 위한 각종 정책과 제도들을 마련하였다. 뿐만 아니라 그는 정몽주를 비롯하여 고려를 끝까지 지키려 했던 옛 동지들의 명예를 회복하는 일도 앞장서서 추진하였다. 이와 같은 권근의 노력은 성리학 이념이 조선에 정착하는 데 중요한 밑거름이 되었다.

●선택의 결과

고려 말의 개혁 과정에서 정반대의 선택을 했던 정몽주와 권근. 두 사람의 선택은 왕조의 교체라는 역사의 흐름을 막지는 못했지만, 새나라 조선이 성리학 국가로 정착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새 왕조 건설에 반대하면서 고려를 지키려 하다가 목숨을 잃은 정몽주는 이후 ‘절의(節義)의 상징’으로 추앙받으며 조선 성리학자들의 정신적 지주가 되었다. 또 권근이 조선에 출사한 이후 이룬 업적들은 조선 초기 성리학이 제도적으로 정착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이처럼 두 사람의 선택은 고려말의 정치 현실 속에서 이루어졌지만, 그 영향력은 조선 건국 후 상당히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강문식(규장각 학예연구사)

2012-04-09 21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