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단순 ‘한복 공정’? 중국은 왜 개회식에 한복을 등장시켰나 [클로저]

단순 ‘한복 공정’? 중국은 왜 개회식에 한복을 등장시켰나 [클로저]

강민혜 기자
입력 2022-02-13 11:36
업데이트 2022-02-16 1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복은 정말 ‘한반도와 조선족의 것’일까

중국 내 여러 소수민족 통합, 국가 안정에 필요
한족과 55개 소수민족 대상 일체화 박차
한복 공정, 이 과정에서 시작
자국 내 소수민족 대하는 타국 대처와 달라
중국은 소수민족 흡수, 일원화 시도 지속해 문제
‘치마 저고리에 댕기머리’, 올림픽 개회식에 등장한 한복
‘치마 저고리에 댕기머리’, 올림픽 개회식에 등장한 한복 4일 오후 중국 베이징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회식에서 치마 저고리와 댕기 머리를 등 한복 복장을 한 공연자가 개최국 국기 게양을 위해 중국의 오성홍기를 옮기고 있다. 2022.2.5 연합뉴스
“중국 내 소수민족 등장 퍼포먼스 맥락 이해해야 한다.”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한복, 한반도와 조선족의 것이다.” (주한 중국 대사관)
“중국, 한국 내 올림픽 관련 여론 예의주시하고 있다.” (주한 중국 대사관)
“미국, 한중 관계 교란시킨다” (중국 언론 보도)

이 모든 문장은 4일 동계베이징올림픽 개회식 중 소수민족 퍼포먼스에 등장한 한복 논란에서 시작됐습니다. 퍼포먼스에 등장한 배우들은 각각 중국에서 인정한 소수민족의 복장을 입고 나와 오성홍기를 들어 보였죠. 본래 이런 역할은 올림픽 영웅이 하던 것과 달리 중국은 소수민족들에게 맡겼습니다. 국가 통합 의지를 전세계에 내보인 거죠.

이상한 부분이 있죠. 국가 통합 의지 대상에 한복이 들어간 것은 아무래도 이상합니다. 조선족이 들어간 것도 말이죠. 그 외 소수민족이라고 좋아할까요. 아무래도 모든 것이 이상합니다. 중국 내 존재하며 인정받은 소수민족들은 자치구, 자치현 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확대
동계올림픽 개회식에 등장한 한복
동계올림픽 개회식에 등장한 한복 4일 오후 중국 베이징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회식에서 한복을 입은 한 공연자가 중국 국기인 오성홍기 입장식에 참여하고 있다. 2022.2.5 연합뉴스
● “하나의 중국, 하나의 꿈”
이런 모습은 중국뿐일까요. 우리나라에도 차이나타운이 있고요. 인종의 용광로라 불리는 미국은 더할 나위 없습니다. 그런데 미국이, 우리나라가. 이들을 중국처럼 그대로 흡수려고 하면서 대외적으로 “우리 문화”라고 천명한 적이 있던가요.

중국의 한복 공정 논란을 두고 “맥락을 이해해야 한다”거나 “조선족이 한복을 입지 뭘 입어야 하느냐”고 묻는 것은 올림픽의 상징성을 다소 배척한 주장일 수 있습니다. 게다가 중국은 “한국 내 관련 여론을 주시하고 있다”고 하면서까지 이런 행동에 대한 정정은 하지 않고 있습니다.

중국은 중화인민공화국을 합리화하고 그 안에 존재하는 모든 소수민족들을 자국 내 문화로 흡수함으로써 중국 안의 혹시 모를 독립 가능성 등을 없애려 하고 있습니다. 그거 아시나요. 중국의 2008년 베이징올림픽 말입니다. 그 때도 중국은 ‘하나의 중국, 하나의 꿈’ 슬로건을 내며 통합을 강조했습니다. 여러 소수민족이 있는 중국 특성상 국가 안정을 위해 다민족일체화를 끊임없이 주장하고 있으며 오히려 그 공세는 강해지고 있는 겁니다. 이 때문에 주변국만 불편해지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2001년에 태어난 중국의 동계스포츠 종목 선수인 디니거 이라무장(왼쪽,크로스컨트리 스키)과 자오자원(스키 노르딕복합)이 4일 베이징 국립경기장에서 진행된 2022년 동계올림픽 개회식 성화 최종주자로 등장해 점화를 하기 전 관중들에게 손을 들어 보이고 있다. 이리무장은 미국 등의 외교 보이콧을 불러온 인권 문제가 제기된 신장위구르족 출신이다. 2022.02.04 베이징 AP 연합뉴스
2001년에 태어난 중국의 동계스포츠 종목 선수인 디니거 이라무장(왼쪽,크로스컨트리 스키)과 자오자원(스키 노르딕복합)이 4일 베이징 국립경기장에서 진행된 2022년 동계올림픽 개회식 성화 최종주자로 등장해 점화를 하기 전 관중들에게 손을 들어 보이고 있다. 이리무장은 미국 등의 외교 보이콧을 불러온 인권 문제가 제기된 신장위구르족 출신이다. 2022.02.04 베이징 AP 연합뉴스
● 이웃나라, 서로 영향 주고받을 수밖에
조선족을 만날 기회가 있었습니다. 이 조선족은 한국 내 유력 보수매체를 언급하며 그들이 논란을 키웠다고까지 주장했죠. 중국은 한복이 한국의 것이라고 한 적이 없다는 주장입니다. 과연 그럴까요.

중국 일부 매체들도 보도를 통해 한국 내 대선을 앞두고 한복 공정에 대한 과한 반응이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합니다. 실체 없는 논란이라는 주장이죠. 대선 후보가 한복 공정에 대해 목소리를 높였다고 전하면서도 조선족 입장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한 강민진 정의당 대변인, 이웃 나라에 대해 대통령이 될 사람으로서 논란을 언급하기는 부적절하다는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의 발언도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이성적 주장이라고 했죠.

조선족 입장을 고려해야 한다. 맞는 말입니다. 실제 2000년 이후 한류의 영향을 받아 한복이 다시 중국으로 대거 유입됐고, 이 때문에 현재 조선족과 한국의 한복은 큰 차이가 없다는 주장도 있죠. 조선족은 19세기 후기 한반도로부터 중국으로 대규모 이주한 한민족의 일부입니다.

이들은 한복이 1992년 한중수교 후 한복 세계화를 꾀하면서 조선족 방식의 한복을 한국식으로 변화시켰다고도 주장합니다. 그럴 수 있습니다. 실제 중국과 한반도는 과거부터 이웃 나라였으며 영향을 끊임없이 주고 받았기 때문에 서로의 복식에 당연히 변화를 줬을 겁니다.
올림픽 개회식에 등장한 ‘한복’
올림픽 개회식에 등장한 ‘한복’ 4일 오후 중국 베이징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회식에서 한복을 입은 한 공연자가 손을 흔들고 있다. 2022.2.5 연합뉴스
● 소수민족 독립 우려하는 중국,
강한 일체화 시도하며 ‘무리수’

중국의 올림픽 한복 공정 개회식 논란 관련 태도는 그래서 문제가 있습니다. 2018년 3월 11일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통과된 수정헌법 제4조 제1항에 “국가는 소수민족의 합법적 권리와 이익을 보장하며 각 민족의 평등 단결과 상호 화해를 지킨다”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그러나 이와 달리 실제는 자신들의 권리와 이익에 소수민족의 문화를 흡수하는 행태를 보이고 있죠.

지난해 5월 중국 정부 제7차 인구센서스에 따르면 중국 내 55개 소수민족 인구는 1억 2547만명으로 중국 전체 인구의 8.89%죠. 이들 소수민족이 거주하는 소수민족 자치구역은 전체 국토면적의 약 64%를 차지합니다. 이들 중 34개 민족이 중국 인접국가에도 다수 거주하는 사람들이죠. 중국 육지 국경선 가운데 약 90% 이상의 국경선이 소수민족 전역에 걸쳐 있습니다.

국경선에 거주하는 인구 중 절반 이상이 소수민족이라는 건요. 중국이 통합정책으로 중국 내 소수민족을 중화인민공화국으로 묶으려는 강한 동기가 될 수 있습니다. 하나의 소수민족이라도 독립한다면 그 파급효과가 다른 소수민족들에게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황희 문화체육부 장관이 개회식이 끝난 후 기자들에게 “명백한 주권국가가 있는데 한복을 소수민족의 의상으로 등장시킨 것은 오해의 소지가 있다”고 주의를 준 것은 정확한 진단일 수 있습니다. 중국의 일체화 시도에 명백한 본류가 있는 조선족까지 넣은 것은 중국 자신들만 생각한 위험한 시도라는 지적인 것이죠.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4일 오후 중국 베이징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회식에 한복을 입고 참석해 있다. 2022.2.4 문화체육관광부 제공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4일 오후 중국 베이징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회식에 한복을 입고 참석해 있다. 2022.2.4 문화체육관광부 제공
● 소수민족 탄압도 지워

이번 올림픽에서 중국의 소수민족 관련 행태를 두고 화가 난 건 한국만이 아니었습니다. 미국 역시 중국의 신장 위구르 지역 인권 탄압 미화를 두고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마지막 성화 주자로 이 지역의 인물이 등장했는데, 이 지역에 존재하고 있는 인권 탄압 문제를 올림픽을 통화 미화시키려는 게 아니냐는 주장이었습니다.

이 역시 중국이 내부의 소수민족 관련 문제를 올림픽으로 미화해 선전하는 맥락으로 읽힐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중국은 여기에도 강하게 반발했지만, 우리는 그것이 중국의 전형적 반응이라는 것을 이미 알고 있습니다.

역사는 기록하는 자가 승리한다는 걸 우리는 이미 알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중국의 대외적 한복 공정 시도나 한국에 대한 문화 공정 시도에 대해 우리는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는 것일지도 모릅니다. 상당수 네티즌들이 중국의 한복 공정 관련 게시글 등에 가서 영어로 한국 문화를 설명하는 댓글을 다는 것은 이러한 역사적 주도권 뺏기기를 우려했기 때문입니다.
20일(현지시간) 프랑스 하원은 중국 당국의 신장 지역 위구르족 탄압을 제노사이드(집단 학살)로 규정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사진은 2019년 3월 25일 프랑스 위구르 공동체 시위대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파리 방문 중 에펠탑 인근에서 동투르키스탄 깃발을 내보이며 시위하는 모습. 파리 AFP 연합뉴스
20일(현지시간) 프랑스 하원은 중국 당국의 신장 지역 위구르족 탄압을 제노사이드(집단 학살)로 규정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사진은 2019년 3월 25일 프랑스 위구르 공동체 시위대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파리 방문 중 에펠탑 인근에서 동투르키스탄 깃발을 내보이며 시위하는 모습. 파리 AFP 연합뉴스
중국 지린성 지안현에 있는 고구려 벽화고분 가무배송도. 고구려 의복을 증명하는 주요 사료다. 사진은 천안 독립기념관 관람물. 강민혜 기자.
중국 지린성 지안현에 있는 고구려 벽화고분 가무배송도. 고구려 의복을 증명하는 주요 사료다. 사진은 천안 독립기념관 관람물. 강민혜 기자.
● 중요한 건 ‘기록’
중국 지린성 지안현에 있는 고구려 벽화고분 속 점박이 무늬 한복을 입은 사람들의 모습은 우리나라의 한복 역사를 증명하는 자료로 줄곧 쓰여 왔습니다.

이 고분은 5세기 무렵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는데요. 1935년에 처음 발굴, 조사됐어요. 벽화 중 가무배송도에는 무덤 주인을 춤과 노래로 떠나 보내는 장면이 담겼죠. 주목할 건 복장입니다.

이들은 윗도리, 바지, 긴 두루마기 디자인의 서로 다른 옷을 입고 있죠. 윗도리와 바지를 입은 사람들의 옷 배색도 서로 다릅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한복과 아주 유사하죠. 이들은 고구려 의복이라는 명백한 증거가 됐습니다.

실제 이러한 고증을 따라 인기 가수 아이유와 ‘중화권 남신’ 배우 이준기가 등장했던 드라마 ‘달의 연인-보보경심 려’는 시청률은 낮았지만 복식 재현 등을 두고 호평 받았습니다.

드라마에 엑소 백현 등의 K팝 스타가 등장했고 현재에는 명백한 주연급 배우로 성장해 있는 강하늘, 남주혁도 출연했죠. 이 때문에 한류 열풍이 거센 중국에서도 이 드라마에 대한 인기가 높다는 훈훈한 후문입니다. 방영 당시보다 추후 배우들의 유명세를 타고 입소문을 탔다는데요.

이 드라마는 본래 중국 인기 드라마인 ‘보보경심’을 리메이크한 작품입니다. ‘문화 공정’에 품격 있게 맞서는 역 문화 수출로 ‘문화 홍보’가 된 셈일까요. 

“When they go low, we go high.” 미셸 오바마가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했던 말입니다. “그들이 저급하게 가도, 우리는 품위있게 가자.” 반복되는 중국의 문화 공정 시도에 이 말이 떠오르는 건 왜일까요.
SBS에 방영했던 드라마 ‘달의 연인-보보경심 려’ 스틸. SBS.
SBS에 방영했던 드라마 ‘달의 연인-보보경심 려’ 스틸. SBS.
중국 지린성 지안현에 있는 고구려 벽화고분 수렵도. 고구려 의복을 증명하는 주요 사료다. 사진은 천안 독립기념관 관람물. 강민혜 기자.
중국 지린성 지안현에 있는 고구려 벽화고분 수렵도. 고구려 의복을 증명하는 주요 사료다. 사진은 천안 독립기념관 관람물. 강민혜 기자.
강민혜 기자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