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또 시작된 中 콘텐츠의 문화 침탈, 중국은 왜 이럴까 [클로저]

또 시작된 中 콘텐츠의 문화 침탈, 중국은 왜 이럴까 [클로저]

강민혜 기자
입력 2022-07-08 13:53
업데이트 2022-07-08 13: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진수기’ 한국 드라마 표절 논란
한복 따라 만든 ‘한푸’ 등장
중국 일부 네티즌, 자국 중심 사고 이어가
자신들만의 논리 강화하는 증거 만들기도
디즈니플러스에서 한국을 제외하고 공급되고 있는 중국 드라마 ‘진수기’. 한류열풍을 부른 드라마 ‘대장금’을 표절했다는 논란이 있다. 서경덕 성신여자대학교 교수 제공
디즈니플러스에서 한국을 제외하고 공급되고 있는 중국 드라마 ‘진수기’. 한류열풍을 부른 드라마 ‘대장금’을 표절했다는 논란이 있다. 서경덕 성신여자대학교 교수 제공
“콘텐츠 공개 여부 및 일정은 각 나라의 여건과 사정에 따라 상이하다.”

OTT플랫폼 디즈니플러스가 중국 드라마 ‘진수기’의 한국 드라마 표절 논란에 전한 설명입니다. 이달 초 한국 드라마 ‘대장금’에 대한 표절 논란이 일어난 중국 드라마를 스트리밍하고 있지만 설명은 다소 회피성이 짙습니다.

한국에선 볼 수 없기 때문에 중국에서 한국 콘텐츠를 얼마나 표절하고 있는지 직접 확인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국내 온라인 커뮤니티 등을 통해 이 드라마에 상추쌈을 싸먹는 장면이 밈이 돼 확산하고 드라마 포스터 속 인물들이 한복으로 추정되는 옷을 입은 것이 퍼진 것만 해도 한국에 대한 ‘문화공정’이 시작된 것으로 의심할 만하다는 일각의 해석도 있습니다.

서경덕 성신여자대학교 교수는 8일 진수기 관련 게시물을 공유하며 중국 내부의 아전인수식 해석도 경계해야 한다고 강조했죠. 서 교수는 이날 중국 언론 보도 문제점을 지적하며 “중국 관영매체의 보도 내용이 더 문제”라는 취지의 주장을 이어갔습니다.

서 교수는 “중국에서 한국 콘텐츠 훔치기는 만연했고, 인기 예능과 드라마 등을 불법으로 다운받아 유통했으며 한류스타들의 초상권을 마음대로 사용하는 ‘도둑국’ 이미지는 이미 전세계인이 알고 있다”고 꼬집기도 했습니다. 또한 “남탓으 하기 전에 자국민들이 잘못하고 있는 상황을 기사화해 중국인들이 올바른 역사인식을 가질 수 있게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도 당부했죠.

그렇다면 중국은 왜 이러는 걸까요.

● 중국, 한복 대해 ‘한푸’ 주장 지속
진수기 포스터 속 논란이 된 대상 중 하나인 한복은 중국이 자신들의 명나라 시절 한푸라 우기는 등 문화공정의 대상이 된 적이 이미 있습니다.

실제 중국 포털 사이트 넷이즈 등에는 지난 3월 ‘한푸는 중국 전통 의상이다’라는 취지의 글이 여럿 게재됐습니다.

당시 미국 패션잡지 보그의 캐나다서 자란 중국인 인플루언서 쉬잉(Shiyin)의 화보가 증거로 첨부되기도 했죠. 쉬잉은 해당 인터뷰를 통해 성장 후 중국으로 돌아가기 전까지 한복의 존재를 몰랐다고 했으나 룸메이트를 통해 한복을 ‘한푸’로 소개받고 심취하기 시작했다고 말합니다.

중국은 이 한복을 자신들의 말대로 ‘한푸’로 부르면서 명나라 의복이라는 주장을 이어가고 있죠. 진수기 복장 논란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주장을 폅니다.

● 어떤 근거로 이런 주장 펼치나
중국 일부 네티즌들은 ‘한푸’라는 자신들의 주장을 반영한 단어를 쓰면서 7~10세기 당나라, 10~13세기 송나라, 15~17세기 명나라 기록을 참고했다고 주장합니다.

이들은 한국 네티즌의 사실 정정 요구에는 “열린 자세를 가지라”는 등 황당한 반응을 보이기도 했죠.

또한 루 차오 랴오닝대 미국동아시아연구소장 발언을 인용해 “최근 몇 년 사이 발생한 한국과 중국 사이 문화 분쟁은 일부 젊은 한국인들이 역사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것에서 비롯됐다”는 다소 황당한 주장을 펼쳤습니다.

특히 그는 해당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조선시대 관복은 중국 명나라 의복을 거의 모방한 것 같다. 한국은 예로부터 유교를 내세우며 중국의 우수한 문화를 적극적으로 배우고 흡수했다. 조선시대에는 스스로를 소중화(小中華)라고 했다”고 주장했다“는 등의 발언도 했죠.

그러면서 ”최근 몇 년 사이 발생한 한국과 중국 사이 문화 분쟁은 일부 젊은 한국인들이 역사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기까지 했습니다.

● 불법 시청·베끼기 이어가

서 교수는 ”중국이 올바른 보도를 해야 젊은이들도 제대로 역사 인식을 가질 것“이라며 ”그래야 반중감정도 사라질 것“이라고 제시합니다.

중국은 앞서 지난해에도 OTT플랫폼 넷플릭스의 오리지널 드라마 ‘오징어 게임’을 표절한 ‘오징어의 승리’를 만들었죠. 로고의 디자인까지 유사한데 한국에서 정식 수입해간 것도 아닙니다.

또한 최근엔 OTT플랫폼 쿠팡플레이 드라마 ‘안나’를 불법 경로로 시청하며 되레 표현에 반론을 제기하기도 합니다. 중국 본토에서는 그 어떠한 해외 OTT플랫폼을 볼 수 없는데도 불구하고, 불법으로 한국 콘텐츠를 시청하고 베끼고 있는 겁니다.

지난 2005년 한국 드라마 ‘대장금’(2003~2004)이 중국서 방영된 후 폭발적 인기를 끌었다는 기사는 다수 존재합니다.

중국 후난TV가 대장금을 방영하면서 배우 이영애의 인기도 높아졌고, 중국 내 한복 관심도가 증가했다는 당시의 보도들도 여럿이죠.

한국의 전통 의복인 한복을 자신들의 것이라고 둔갑시킨 이유, 알다가도 모를 일입니다.
캐나다 살았다는 ‘보그’ 그 인플루언서…“한푸는 중국 옷” 자신
캐나다 살았다는 ‘보그’ 그 인플루언서…“한푸는 중국 옷” 자신 보그 인스타그램. 2022.02.07
강민혜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