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들 적극 참여해야 정부 지원 예산 더 는다”

“노인들 적극 참여해야 정부 지원 예산 더 는다”

입력 2011-07-04 00:00
업데이트 2011-07-04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미혜 이대 사회복지전문대학원장

이미지 확대
김미혜 이대 사회복지전문대학원장
김미혜 이대 사회복지전문대학원장
노인 복지 전문가인 김미혜 이화여대 사회복지전문대학원장은 노인 여가 활동 활성화에 대해 “노인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새로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한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65세 이상 노인들은 먹고살기 바쁜 시대에 주로 활동했기 때문에 여가라는 개념조차 없었다.”면서 “하지만 노인들이 움츠리기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앞으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 더 많은 예산과 프로그램을 요구할 수 있게 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노인들도 다음 세대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진지하게 고민을 해야 한다.”면서 “노인 여가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면 다음 세대도 건강하고 즐겁게 나눌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기 때문에 이들에게 선택의 길을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중·장년층 가운데 직장에서 은퇴하면 활력을 잃고 의욕을 상실하는 사례가 많다. 퇴직 전 노년기 여가 프로그램을 준비하지 않았기 때문에 뒤늦게 참여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김 원장은 현재 ‘베이비붐 세대’가 이런 상황에 놓여 있어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예비 노인’으로 불리는 55세 이하 중·장년층은 장년기에 여가를 즐길 수 있는 상황을 맞았지만 일에 치여 살다 보니 65세 이상 노인과 마찬가지로 여가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보지 않은 분들이 많다.”면서 “전 세대보다 크게 달라진 것이 없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여가를 단순히 ‘노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노인들도 많다. 하지만 김 원장은 ‘같이 하는 것’이라고 표현했다. 처음에는 사회복지사의 도움을 받아 활동하겠지만 시간이 지나면 다른 노인을 이끌어주는 동반자 역할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특히 독거 노인은 무료로 참여할 수 있는 복지관·경로당의 여가 프로그램에 참여할 경우 신체 건강은 물론 우울증 해소 등의 정신건강 회복 효과도 노릴 수 있다는 것이 김 원장의 설명이다. 그는 “모임을 통해 몸을 움직이다 보면 정보도 얻게 되고 건강도 되찾게 된다.”면서 “부수적인 효과가 다양하기 때문에 여가 프로그램은 건강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그는 또 “독거 노인이 혼자 처음부터 프로그램에 적응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사회복지사들이 도움을 많이 줘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현용기자 junghy77@seoul.co.kr

2011-07-04 13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