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 좌우할 ‘더 무서운’ 기후변화 온다

국가미래 좌우할 ‘더 무서운’ 기후변화 온다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1-10-27 22:34
수정 2021-10-28 08: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21 서울미래컨퍼런스]

“배출가스 지속 배출 땐 기후 적응 불가
적절한 자원 배분 통해 복원력 갖춰야”
金총리 “탄소중립, 국가 명운 걸린 일”
27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21 서울미래컨퍼런스’ 키노트 세션에서 좌장인 홍종호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를 비롯한 발표자들이 패널토론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유진 녹색전환연구소 부소장, 다고마르 데흐로트 미국 조지타운대 역사학부 교수, 홍 교수, 프랑크 라이스베르만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 사무총장, 김원준 카이스트 기술경영전문대학원장.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27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21 서울미래컨퍼런스’ 키노트 세션에서 좌장인 홍종호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를 비롯한 발표자들이 패널토론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유진 녹색전환연구소 부소장, 다고마르 데흐로트 미국 조지타운대 역사학부 교수, 홍 교수, 프랑크 라이스베르만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 사무총장, 김원준 카이스트 기술경영전문대학원장.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과거가 우리에게 말해 주는 것은 현재 우리 손에 미래가 달려 있다는 것입니다. 배출가스를 계속 배출해 지구를 뜨겁게 만들면 변하는 기후에 대한 적응은 아예 불가능해집니다. 그렇지만 우리가 지금 당장 행동에 나선다면 지속가능 발전을 이룰 수 있는 다른 경로로 갈 수 있다는 것을 역사는 분명히 보여 주고 있습니다.”

서울신문이 ‘초불확실성의 시대, 빅체인지 중심에 서다’라는 주제로 27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개최한 ‘2021 서울미래컨퍼런스’의 첫 번째 연사로 나선 다고마르 데흐로트 미국 조지타운대 역사학부 교수는 최근 100년간 이산화탄소 농도는 이전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높은 수준으로 인류의 생존을 위협할 수준에 도달했다고 강조했다.

데흐로트 교수는 키노트 세션 ‘기후 위기와 대응의 역사, 지속 가능한 지구를 위한 조건’ 중 ‘세계 역사 속 기후변화 대처법’이라는 주제의 강연을 통해 기후변화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역사적 사례를 들어 설명했다. 데흐로트 교수는 현재 많은 나라들이 기후변화 완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그와 동시에 적응이라는 측면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데흐로트 교수는 “과거와 현재의 기후변화 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역사를 통해 완벽하게 미래를 예측하고 준비할 수는 없겠지만 기후변화 대응 성공의 핵심이 복원력과 취약성 두 가지라는 것은 확실하다”고 말했다. 그는 “자원의 적절한 배분을 통해 복원력을 갖추고 있는 사회는 기후변화를 성공과 번영의 발판으로 삼을 수 있고 취약점이 많은 사회는 기후변화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피해 정도가 평균 이상으로 더 심각해질 수 있다는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번 컨퍼런스는 지난해에 이어 코로나19 상황에서 열려 정부 방역지침에 따라 참석자들 모두 마스크를 착용하고 좌석 사이 투명 차단막이 설치된 가운데 진행됐음에도 코로나 이후 인류가 직면할 가장 큰 문제인 기후변화의 해법을 찾기 위해 각계 전문가와 연구원, 기업인들이 참여해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 이날 컨퍼런스는 유튜브를 통해 생중계되면서 안방 1열에서도 많은 이들이 접속해 지켜봤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축사를 통해 “탄소중립이라는 목표가 결코 쉬운 과제는 아니지만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과 친환경 신기술 확보는 국가의 명운이 걸린 일인 만큼 우리 정부의 의지는 분명하다”며 “이번 컨퍼런스틀 통해 기후위기와 기술변화에 대한 대응방안에 대해 정부와 함께 추진할 것이 있다면 가감 없이 제안하고 대전환에 대한 고민에 머리를 맞대 달라”고 말했다.

지난해 발표자로 참여해 서울미래컨퍼런스와 깊은 인연이 있는 이광형 카이스트 총장은 이날 축사에서 “초불확실성 시대, 빅체인지 중심에는 과학기술이 있다”며 “대전환 시대에 어떤 비전을 갖고 어떻게 미래를 준비하는가에 따라 미래의 세계지도는 지금과 확연히 달라질 것이기 때문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2021-10-28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