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지지 정당 따라 그들만의 뉴스·드라마·예능 시청… ‘두 개의 미국’

지지 정당 따라 그들만의 뉴스·드라마·예능 시청… ‘두 개의 미국’

김균미 기자
입력 2020-01-30 17:34
업데이트 2020-01-31 02: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균미의 글로벌 이슈] 대선 앞두고 분열의 골 더 깊어진 美

이미지 확대
2월 3일 민주당의 아이오와주 당원대회(코커스)를 시작으로 9개월간의 미국 대선 레이스가 시작된다. 공화당과 민주당보다 친(親)트럼프, 반(反)트럼프로 나뉜 미국. 2016년 도널드 트럼프가 대통령에 당선된 이후 미국 사회의 갈등과 분열의 골은 더욱 깊어지고 넓어졌다. 대통령이 스스럼없이 갈등과 혐오의 언어로 자신과 반대편에 서 있는 사람들을 비난하고, 언론에 대한 불신과 적대감을 증폭시키고 있다.

대통령의 언론에 대한 불신과 적대감은 고스란히 트럼프 지지층에 전이된 지 오래다. 선거가 가까워질수록 뉴스와 정보 편식은 악화하고 있다. 선호하는 미디어의 렌즈를 통해 바라보는 세상은 더욱 분열돼 있고, 좁아지고 있다는 우려의 소리가 커지고 있다. 지지 정당이나 이념 성향에 따른 미국 사회의 양극단화가 가장 첨예하게 대립하는 곳은 바로 언론이다. 미국 사회의 분열은 언론에 그치지 않고 TV 프로그램과 소비 브랜드 등 문화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뉴스 소비와 대중문화 향유 패턴도 극과 극

미국 퓨리서치센터와 서던캘리포니아대학(USC) 애넌버그 커뮤니케이션·저널리즘스쿨의 최근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공화당과 민주당 지지층의 뉴스 소비와 대중문화 향유 패턴은 확연하게 구분된다. 공화당 지지층의 언론, 특히 기성 언론에 대한 불신은 매우 크다. 정치와 선거 관련 뉴스는 압도적으로 폭스뉴스에 의존하고 있다. 다른 방송이나 신문에 대한 관심 자체가 거의 없다. 반면 민주당 지지층은 CNN을 가장 많이 보지만, 이에 못지않게 NBC, ABC, CBS, PBS 뉴스도 주요한 뉴스원으로 조사됐다.

애넌버그스쿨의 지난해 연구에 따르면 민주당 지지층은 ‘심슨네 가족´, ‘패밀리 가이´와 같은 코믹 만화 프로그램을 좋아하는 반면 공화당 지지층은 자신들과 생각이 비슷한 주제를 다룬 프로그램과 히스토리 채널을 즐겨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도층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즐겨 보고 많이 보는데, 특히 교훈적인 내용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용하는 뉴스 플랫폼도 차이가 난다. 로이터정치연구소의 2019년 디지털뉴스 연구서에 따르면 민주당, 진보 성향의 이용자들은 주로 온라인으로 뉴스를 접한다. 반면 공화당과 보수 성향의 이용자들은 케이블TV와 신문이 주요 뉴스원이다. 정보기술(IT)에 대한 숙련도, 나이와도 관련이 있어 보인다.

●공화 지지층 미디어 불신 5년 전보다 높아져

퓨리서치센터는 지난 24일 ‘미국 언론의 양극단화와 2020년 대선: 분열된 나라´라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지상파와 케이블TV 뉴스, 라디오, 신문, 온라인미디어 등 구독자와 시청자가 많은 뉴스 매체 30개를 선정해 성인 1만 2043명을 대상으로 신뢰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다. 퓨리서치는 2014년에도 20개 매체를 대상으로 유사한 조사를 실시했다.

예상대로 지지 정당별, 이념 성향별로 신뢰하는 미디어의 편차가 컸다. 공화당 지지층은 30개 매체 중 20개 매체에 대해 불신한다는 답변이 신뢰한다는 답변보다 높게 나타났다. 공화당 지지층이 신뢰하는 뉴스에는 폭스뉴스와 션해니티쇼, 러시 림보 라디오토크쇼 등이 포함됐다. 반면 민주당 지지층은 30개 매채 중 22개 매체에 대해 신뢰한다는 답변이 불신한다는 답변보다 많았다. 미디어에 대한 양극단화를 보여 주는 또 다른 조사 항목도 있다. 민주당 지지 성향 이용자의 33% 이상이 신뢰하는 매체는 30개 중 13개인 반면 공화당 지지층의 33% 이상이 지지하는 매체는 폭스뉴스와 ABC뉴스 단 2개였다.

지지 정당에 이념 성향까지 더해지면 미디어의 양극단화는 더욱 심각한 수준이 된다. 리버럴한 민주당 지지층과 보수적인 공화당 지지층 간에 신뢰, 불신이 극명하게 드러나는 매체는 뉴욕타임스다. 리버럴한 민주당 지지층의 66%가 뉴욕타임스를 신뢰한다고 답한 반면 보수적 공화당 지지층은 10%만이 신뢰한다고 했고 불신하다는 답변은 50%였다. 러시 림보에 대해서는 보수적 공화당 지지층의 38%가 지지한다고 했지만, 리버럴한 민주당 지지층은 55%가 불신한다고 답해 대비를 이뤘다. CNN과 폭스뉴스에 대한 신뢰, 불신 수준은 민주당과 공화당 지지층 내에서도 이념 성향에 따라 20% 포인트 이상 차이가 났다.

5년 전보다 미디어에 대한 불신도 높아졌다. 공화당 지지층의 미디어 전반에 대한 불신이 두드러진다. 2014년과 2019년 조사에 모두 포함된 20개 매체 가운데 14개 매체에 대한 공화당 지지층의 불신이 확대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CNN과 뉴욕타임스, 워싱턴포스트에 대한 불신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이들 3곳은 트럼프 대통령이 자주 가짜뉴스로 비난하는 매체들이다. 반면 민주당 지지층의 경우 5년 전과 비교해 언론에 대한 신뢰도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트럼프의 핵심 측근이었던 스티븐 배넌이 운영했던 브레이트바트와 트럼프가 애청하는 폭스채널의 션해니티쇼만 예외였다.

●‘폭스뉴스 현상’… 신뢰 45%·불신 40% 팽팽

3700개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지지도를 조사하는 모닝 컨설트의 지난해 8월 조사결과에서도 정치적 성향에 따라 선호도 격차가 가장 많이 벌어진 15개 브랜드 중 12개가 언론사였다. CNN과 폭스뉴스가 2위와 3위에 각각 올랐고, 1년 전보다 격차가 훨씬 더 벌어졌다.

미국의 미디어 환경에서 폭스뉴스의 지위는 매우 독특하다. 보수층을 대변하기 위해 설립돼 이제는 거의 유일무이한 보수의 목소리가 됐다. 동시에 국민들의 신뢰(45%)와 불신(40%)이 뒤섞여 있어 퓨리서치센터는 이를 ‘폭스뉴스 현상’으로 부르고 있다.

폭스뉴스에 대한 공화당 지지층의 신뢰도는 65%로 2위인 ABC뉴스(33%)보다 거의 두 배나 높다. 정치와 선거 관련 뉴스의 주요 공급원도 공화당 지지층 사이에서는 폭스뉴스가 60%로 압도적이다. 반면 민주당 지지층은 CNN에 대한 신뢰도가 67%로 1위이지만 2~5위인 다른 방송 뉴스들에 대한 신뢰도도 56~61%로 큰 차이가 없다.

●민주 다양한 프로, 공화는 선호 프로 주로 시청

USC 애넌버그 커뮤니케이션·저널리즘스쿨 내 노먼 리어센터가 2019년 지지 정당 및 이념성향에 따른 50개 TV프로그램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를 보면 뉴스 소비 패턴과 비슷한 점이 많다. 뉴욕타임스가 2016년 대선 당시 지역별로 유권자들의 호불호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했던 프로그램이다.

리버럴 성향의 민주당 지지층과 중도 성향의 국민은 보수 성향의 공화당 지지층보다 다양한 프로그램을 즐겨 본다. 공화당 지지층은 특히 자신이 공감할 수 있는 주제를 다룬 소수의 프로그램에 ‘꽂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0개의 프로그램 가운데 민주당 지지층은 22개 프로그램을 좋아한다고 답했고, 중도층은 40개, 공화당 지지층은 14개 프로그램을 좋아한다고 응답했다. 17개의 장르 중 민주당 지지층은 13개 장르의 프로그램을, 공화당 지지층은 6개 장르의 프로그램을 각각 좋아한다고 답해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심해지는 분열·갈등에 커지는 우려의 목소리

갈수록 심해지는 사회적·정치적 분열과 갈등에 대한 우려가 미국 내부에서도 커지고 있다. 당파성이 강한 언론 보도가 11월 선거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 전문가들은 예의주시하며 추적 분석하고 있다. 확증 편향 현상이 더 강화될지 여부가 관심이다. 퓨리서치센터는 언론이 편향성을 지양하는 것 못지않게, 언론에 대한 최고 지도층의 인식과 태도가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양극화한 미디어 지형과 뉴스 소비 행태가 바뀌려면 시간이 걸린다. 중도 성향의 유권자들이 늘고 있고, 이들의 언론에 대한 불신이 상대적으로 덜하다는 조사결과에서 실마리를 찾아가야 하지 않을까 싶다.

대기자 kmkim@seoul.co.kr
2020-01-31 27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