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단독] “동기부여 된 학생, 사교육 따라잡을 수 있어”

[단독] “동기부여 된 학생, 사교육 따라잡을 수 있어”

입력 2015-01-13 23:52
업데이트 2015-01-22 11: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15 대한민국 빈부 리포트-2회 출산편 보도 그 후] 저소득층 영어 멘토링 나선 이길영 한국외대 교수

“저소득층 아이들은 공부해야 하는 동기만 생기면 눈빛이 금세 달라집니다.”

이길영(53) 한국외국어대 영어교육과 교수는 13일 서울신문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아무리 사교육을 받아도 동기부여된 학생을 이길 수는 없다”며 이렇게 말했다. 이 교수는 서울신문의 ‘2015 대한민국 빈부 리포트’ 제1회인 절대 빈곤층 자녀교육편<1월 6일자 4면>을 보고 다음날 기사에 소개된 극빈층 학생 영훈(12·가명)군을 제자들과 함께 돕겠다고 온정의 손길을 내민 바 있다. 그는 자신이 가르치는 영어교육과 학생들과 10여년째 저소득층 중·고등학생들에게 영어를 무료로 가르치는 멘토링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미지 확대
이길영 한국외대 교수
이길영 한국외대 교수
→저소득층 멘토링은 어떤 식으로 하나.

-외대 영어교육과 학생들이 한 학기 동안 매주 한 번씩 지역주민센터를 통해 소개받은 저소득층 학생 집을 찾아가 영어를 가르쳐 준다. 또 고민 상담 등 형·누나 역할도 해 준다. 지금까지 400여명의 저소득층 아이들을 가르쳤다.

→대학생들이 느끼는 빈곤층 아이들의 첫인상은.

-또래보다 한참 뒤처진 영어 실력에 놀란다. 어떤 제자는 극빈 가정의 중2 학생을 가르치고 와서는 “알파벳 b와 d를 구분 못하더라”며 낙심했다.

→영어가 가정 형편에 따른 아이들의 학습 격차가 가장 큰 과목이라던데.

-그렇다. 저소득층 자녀의 영어 실력이 떨어지는 건 사교육을 받지 못하는 까닭도 있겠지만 학습 동기부여가 안 되는 탓이 더 크다. 주변에 영어 잘하는 사람이 있어서 ‘나도 잘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야 공부할 텐데 그렇지 못하다. 그래서 저소득층 아이들을 가르칠 때는 영어공부를 왜 해야 하는지에 대해 자주 얘기한다. 또 대학 캠퍼스에 데려와 도서관이나 동아리방 등을 보여주면서 대학 입학에 대한 동기를 부여한다.

1월 6일자 빈곤층 자녀 교육편
1월 6일자 빈곤층 자녀 교육편
→사교육을 전혀 못 받다가 중·고등학생이 돼서야 영어공부를 시작하면 이미 늦은 것 아닌가.

-동기부여만 되면 따라잡을 수 있다. 물론 발음은 조기교육한 아이와 격차가 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영어 능력에서 발음을 아주 중요하게 보지는 않는 경향이 전 세계적으로 퍼져 있다. 뜻만 제대로 전달하면 된다. 중학교 이후라도 집중적으로 영어공부를 한다면 얼마든지 따라잡을 수 있다.

→가장 보람을 느꼈던 순간은.

-7~8년 전에 한 영어교육을 부전공한 학생이 저소득층 가정을 방문했는데 공부를 배울 중학생이 ‘불량 청소년’이었다. 반항끼가 있는 데다 누군가 자신을 가르치려 한다는 걸 마뜩잖아 했다. 대학생 형이 “꿈이 뭐냐”고 물었더니 “육군사관학교에 가서 군인이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더라. 우연히도 그 대학생은 육사를 다니다가 담배를 피웠다는 이유로 퇴교당한 뒤 수능을 다시 봐 우리 학교 영어교육과에 들어온 학생이었다. 그래서 육사생도 시절 제복 입은 모습을 보여주자 아이의 태도가 달라졌고 공부도 열심히 했다고 한다.

→사교육 시킬 돈이 없는 부모들은 자녀의 영어교육을 어떻게 시켜야 하나.

-영어를 배울 때 가장 중요한 건 동기부여와 자신감이다. 공부할 의욕이 생기면 국가에서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학습 사이트나 EBS 등을 통해 혼자 공부할 수 있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2015-01-14 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