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전략 수립 사활 건 글로벌 리더 기업

미래전략 수립 사활 건 글로벌 리더 기업

입력 2011-07-15 00:00
업데이트 2011-07-1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때 세계를 놀라게 했던 국내 몇몇 기업들은 초기의 성공에 안주해 미래를 등한시하다 위기를 맞고 있다. 인터넷 업계는 모바일 검색 시장을 구글에 넘겨줄 위기에 처해 있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시장 역시 트위터나 페이스북의 천하가 됐다. 세계를 쥐락펴락하는 글로벌 리더 기업들은 정확한 미래 전략 수립에 사활을 걸고 있다. 21세기 지구적 트렌드를 정확히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구체적인 미래 전략을 찾아야만 영원한 기업의 화두인 ‘생존’이 가능하다.

잭 웰치의 ‘혁신경영’으로 세계 기업 경영의 교과서로 통하는 제너럴일렉트릭(GE)의 미래 전략은 에너지 분야와 헬스케어 사업에 대한 역량 강화로 요약할 수 있다. GE는 최근 1년간 140억 달러(약 15조원) 규모의 기업 인수·합병(M&A)에 나섰는데, 이 가운데 에너지 분야와 관련된 것이 110억 달러가 넘는다. 최근에는 프랑스의 전기발전 장비업체인 ‘컨버팀’을 32억 달러에 인수하기로 했다. 컨버팀은 원유와 가스 개발에 사용되는 모터와 같은 부품을 만드는 회사다. 이 기업은 미래 성장 동력으로 에너지 사업을 강화하려는 GE의 계획과도 잘 맞아떨어진다. 10여년 전부터 꾸준히 육성해 온 헬스케어 분야도 이제 세계 1~2위를 다투는 분야로까지 성장시켰다. 2010년을 기준으로 의료기기를 포함한 전 세계 헬스케어 시장 규모는 3139억 달러(약 345조 3000억원)로 반도체(420억 달러)의 7배 규모다. 2020년에는 1조 1802억 달러(1300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될 만큼 성장 잠재력이 충분하다.

세계적인 자동차 업체인 폴크스바겐그룹은 ‘친환경’에 기업의 미래를 걸었다. 우선 폴크스바겐은 향후 10년간 전기차보다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외부전원을 이용해 충전이 가능한 하이브리드차)가 주종을 이룰 것으로 보고 폴크스바겐의 모든 차종에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폴크스바겐이 전통적으로 추구해 왔던 친환경 디젤차량에 더해 세계 최고 수준의 친환경 차량 업체로 발돋움하겠다는 구상이다. 기술 경쟁력을 높이는 동시에 기업 이미지도 친환경적으로 바꿔 세계 자동차 시장의 미래를 바꿔 놓겠다는 전략이다.

류지영기자 superryu@seoul.co.kr

2011-07-15 33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