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기업의 신성장 미래전략] 르노삼성자동차

[글로벌기업의 신성장 미래전략] 르노삼성자동차

입력 2011-07-15 00:00
업데이트 2011-07-1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기차·친환경 경차 개발 박차

르노삼성자동차는 기후변화 대응 차량 양산이라는 미래 성장 전략에 따라 전기차와 친환경 경차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르노삼성자동차의 미래형 전기차 ‘SM3 Z.E.’.  르노삼성자동차 제공
르노삼성자동차의 미래형 전기차 ‘SM3 Z.E.’.
르노삼성자동차 제공


내년 말 생산 예정인 전략 전기차 ‘SM3 Z.E.’는 일반 차량 수준의 성능을 보여주는 르노삼성의 미래형 차량이다. 이산화탄소 배출이 전혀 없고, 전기모터로만 구동되는 순수 전기차로, 르노-닛산 얼라이언스의 첨단 기술의 진수라 할 수 있다.

한번 충전으로 160㎞ 이상을 달릴 수 있고, 시속 150㎞까지 달릴 수 있다. 모터파워 또한 최대 70킬로와트(㎾)에 달한다. 차량에 장착되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무게는 250㎏가량이며, 속도가 줄어들 경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에너지 복원 시스템이 가동된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트렁크에 수직으로 위치하고 있으며, 차량 전장은 배터리 위치를 고려해 일반 SM3 차량보다는 13㎝ 길게 제작됐다. ‘SM3 Z.E.’는 국내에 소개된 전기차량 가운데 유일하게 퀵드롭 배터리 교환 시스템(3분 내에 100% 충전된 배터리로 교환)을 채택해 기존 전기차의 약점인 주행 거리 제약을 극복했다.

르노삼성은 이 차량을 부산공장에서 만들어 초기 자본 투자를 최소화하고 대량 생산 체제를 신속히 갖춰나갈 계획이다. 본격적인 양산은 향후 전기차 인프라 구축 상황을 봐 가며 결정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르노삼성은 라인업 다변화의 일환으로 3~4년 안에 경차도 개발해 선보일 계획이다. 특히 품질을 가장 중요시하는 르노삼성자동차의 DNA를 담아 경차의 독특한 캐릭터나 기능, 스타일링을 구현해 낼 방침이다.

류지영기자 superryu@seoul.co.kr
2011-07-15 49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