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소통의 장’ 광장의 10년 명암] 트위터·페이스북, 언로 뚫고 담론 넘어 세상을 바꾼다

[‘소통의 장’ 광장의 10년 명암] 트위터·페이스북, 언로 뚫고 담론 넘어 세상을 바꾼다

입력 2012-07-18 00:00
업데이트 2012-07-1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SNS, 광장 대신할까

뮤지컬 등 공연을 즐기는 직장인 김모(35·여)씨는 2년 전부터 사회문제에 대해 부쩍 관심이 늘었다. 김씨는 “트위터를 하면서 사회나 정치문제 등 평소 관심이 없던 일들에 대해 좀 더 알게 됐다.”면서 “지난해에는 처음으로 정치후원금을 기부하기도 했다.”고 밝혔다. 김씨는 트위터를 통해 “잊고 있던 주변의 중요한 문제에 대해 좀 더 관심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우리 사회의 사라진 광장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대신할 수 있을까? 이집트와 튀니지의 민주화 운동 과정에서 트위터와 페이스북 등 SNS의 영향력은 놀라웠다.

막힌 언로(言路)를 뚫고 시민 사이의 토론을 이끌어 냈고, 온라인상의 담론을 넘어 현실세계를 바꾸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 한국에서도 마찬가지. 2010년부터 선거과정에서 20~30대는 SNS를 매개로 소통했고 그 결과 지난해 6·2 지방선거에선 54.5%로 1998년 이후 지방선거로는 가장 높은 투표율을 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올 4월 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투표율이 예상보다 저조하게 나타나면서 ‘SNS 한계론’도 등장하고 있다. 새로운 ‘소통의 광장’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SNS의 성과와 한계를 짚어 봤다.

일단 SNS가 시민들 사이의 소통을 강화했다는 점에는 모두가 동의한다. 개별적인 시민들이 자신이 알지 못하는 사회문제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고, 이를 토론하는 공간으로서 SNS를 적극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장덕진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는 “2008년 촛불집회 이후 오프라인 광장이 주춤해진 반면 SNS를 통한 온라인 소통은 더욱 활발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면서 “정치·사회문제를 논의하는 장으로서 SNS가 유효하다.”고 평가했다. 김호기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도 “SNS가 선거과정에서 의견을 교환하거나 확산시키는 데 역할을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4대강이나 제주 강정마을 해군기지 등 주요 이슈에 대해서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 측면도 있다.”고 전했다.

문제는 SNS를 통해 이뤄지는 소통이 실제 현실에 영향을 미치느냐다. 지난해 6·2 지방선거의 투표율이 15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고 10·26 재보궐선거에서 서울의 투표율이 48.6%까지 오르면서 전문가들은 앞으로 SNS가 선거를 좌우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트위터를 통해 투표운동이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일각에서는 투표율이 70%대에 육박할 것이라는 희망 섞인 전망도 내놨다.

그러나 올 4·11 총선 투표율이 54.2%에 그치면서 갑자기 SNS에 대한 회의론이 쏟아졌다. 트위터들은 물론 전문가들도 SNS가 오프라인의 광장에 비견되는 힘을 갖기에는 취약한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SNS가 온라인상의 여론을 주도하는 데 역할을 하는 것은 맞지만 이것이 사회문제나 현실 정치에 영향을 미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이택광 경희대 영미문학부 교수는 “SNS에 오면 광장이 마치 방으로 줄어드는 것 같은 생각이 든다.”면서 “의견이 같은 사람들을 통합시키는 데는 효과적이지만 바깥 사람들에게 영향력을 확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다른 한쪽에서는 SNS가 조건만 갖춰지면 현실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데 충분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광장이라고 말한다. 김 교수는 “지난해 희망버스나 강정마을 지키기 운동 등은 SNS상의 논의가 현실 세계로 튀어나온 사례”라면서 “사람들이 공감할 이슈가 만들어진다면 언제나 SNS의 담론이 현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SNS가 또 다른 불통이라는 주장과 그렇지 않다는 주장도 맞서고 있다. ‘나는 꼼수다’처럼 소위 대박을 친 캐스트가 등장해 사람들에게 사회문제와 정치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킨 것은 사실이지만 지난 총선에서 김용민 후보를 둘러싼 논란 과정에서 나꼼수가 또 하나의 불통이라는 비판도 받았다.

전창규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는 “대중들이 스스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SNS가 소통의 도구로서 긍정적 역할을 하는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하지만 나는 꼼수다처럼 비슷한 성향을 가진 이들이 결집되면 또 다른 불통을 낳는 측면도 있다.”고 전했다.

반면 장 교수는 “트위터들의 팔로 성향을 보면 60% 정도는 코드가 맞는 사람이고 40%는 자신과 생각이 다른 사람들”이라면서 “나꼼수의 경우 뉴미디어는 맞지만 일방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기 때문에 SNS 형태의 서비스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김동현·신진호기자 moses@seoul.co.kr

2012-07-18 57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