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다시읽기] ‘걸리버 여행기’ 왜 동화로 분류됐을까

[고전 다시읽기] ‘걸리버 여행기’ 왜 동화로 분류됐을까

입력 2010-02-08 00:00
업데이트 2010-02-0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08년 첫 소개… 정치비판 이유로 2개 에피소드 번역 안 돼

‘걸리버 여행기’가 우리나라에 처음 소개된 것은 1908년 육당 최남선이 펴냈던 잡지 ‘소년’을 통해서였다. ‘갈리보유람기(葛利寶遊覽記)’라는 제목으로 ‘알사람나라구경’(小人國漂着觀光錄)과 ‘왕사람나라구경’(巨人國漂流觀光錄) 두 편이 소개되었다.

최남선은 이 작품을 ‘로빈슨 표류기’와 더불어 저명한 해사소설(海事小說)이라고 소개하면서, “부허(浮虛)하고 음탕(淫蕩)한 희작물(戱作物)”(요즘 말로 하면 ‘19금’ 성인물)들로부터 ‘소년’(이때 소년은 단지 나이가 어린 사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봉건적인 기성세대와는 구별되며 새롭게 조성되는 근대적 환경에 적응하고 그것을 선도해 나갈 신세대층을 의미한다.)들을 보호하고 가르치고자 하는 목적에서 번역, 소개한다고 말했다.

요즘과는 달리 어린 세대들에게 유익한 읽을거리가 전무하다시피 했던 20세기 초반, 걸리버 여행기는 매우 권장할 만한 교양도서로 선택된 것이다. 최남선은 소년들에게 모험심과 개척정신을 심어주고자 하는 계몽적 의도로 잡지를 발행했고, 걸리버 여행기 역시 이러한 맥락 속에서 선택, 번역된 것이다.

최남선의 번역 이래 대체로 한국에서 걸리버 여행기는 소인국과 대인국에 관한 두 편의 에피소드만으로 이루어진 동화, 혹은 청소년 필독서로 이해되어 왔다. 그런데 왜 하늘을 나는 섬 라퓨타 이야기와 말들의 나라 휴이넘에 대한 이야기는 번역되지 않았을까. 거기에는 어떤 의도가 있었을까.

물론 가장 설득력 있는 쪽은 최남선이 선택한 것이 애초에 온전한 형태의 텍스트가 아니라 어린이용 버전이었을 가능성이다. 스위프트 당대에도 휴이넘의 이야기가 신성모독이라는 이유로, 소인국과 거인국의 이야기가 너무 신랄한 정치풍자라는 이유로, 그리고 라퓨타의 아카데미가 지식의 세계에 대한 지나친 조롱이라는 이유로 걸리버 여행기는 발매 즉시 금서 처분되었으며, 아동용 도서로 개작됨으로써만 간신히 출판될 수 있었다.

특정 작품을 동화로 개작하는 데에는 두 가지 의도가 있다. 하나는 그것에 교육적 효과를 기대하기 때문이고, 또 다른 하나는 개작의 과정에서 그 작품 본래의 위험한 사상 혹은 비판적 맥락을 지워버리는 것이다. 스위프트 당대에 걸리버 여행기의 동화버전은 대체로 후자의 관점에서 만들어졌다. 위험한 사상을 품고 있는 글을 그 핵심적 맥락은 제거한 채 특정한 내용들만으로 재구성하는 방식은 작가와 작품의 권위를 실추시키고 그것을 대중들로부터 떼어 놓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것이다.

사실 이 책 전반에 걸쳐 자리 잡고 있는 신랄한 비판과 풍자의 내용들은 시대를 막론하고 그 비판의 대상인 권력자들의 입장에서는 받아들이기 힘든 것이다. 그래서인지 한국에서는 1990년 이후에야 비로소 원문에 충실한 걸리버 여행기의 번역본을 만날 수 있게 됐다.
2010-02-08 22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