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심·허영·어리석음… 차갑게 바라본 군상들

욕심·허영·어리석음… 차갑게 바라본 군상들

입력 2010-07-19 00:00
수정 2010-07-19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고리오 영감’ 속 인물들

스탕달은 ‘적과 흑’(1830)에서 나폴레옹을 동경하는 젊은이 쥘리앵 소랠을 그렸다. 쥘리앵은 사랑과 박애의 혁명정신을 순수한 마음으로 동경했다. 발자크에게 이런 낭만은 없다.

이미지 확대
‘고리오 영감’의 프랑스어 판본.
‘고리오 영감’의 프랑스어 판본.
그는 사랑과 우정에 대한 헛된 꿈을 철저히 버리고 차갑게 세상의 추이를 지켜보는 길을 선택했다. 그 누구도 고리오 영감의 죽음에 조의를 표하지 않았다. 하숙집 주인 보케르 부인은 두 딸의 머리털이 들어 있는 금색 메달을 고리오의 주검에서 떼어 낸다. 그녀는 고리오가 저승길에 가지고 갈 수 있는 유일한 물건마저 훔치려고 달려든 것이다. 발자크는 이 부인의 어리석은 욕심도 가차없이 포착했다.

그 결과, 나폴레옹 후일담만 되새김질하며 지내던 사람들은 허영에 허우적대는 자신 또한 직면할 수 있게 되었다.

보들레르는 1845년 자신의 비평문에서 이런 발자크의 인물들이 ‘일리아스’의 주인공보다 훌륭하다고 썼다. 고리오와 라스티냐크가, 심지어는 하숙집 주인 여자가 더 독특하다! 왜? 그들은 신화 속 영웅들처럼 자기 욕망 때문에 좌절하고 시련을 겪지만 결코 자신의 본성, 자신의 호기심을 꺾지 않기 때문이다. 신도 없는 세계에서 어떻게 그런 용기를! 그들은 그 끝에 허망한 죽음이 기다릴지라도, 약속된 것 하나 없이 세상에 알몸으로 떨어지더라도, 자기 두 주먹으로 세상과 맞짱 뜨는 일에 목숨을 걸었다. 발자크의 독자들은 이런 주인공의 매력에서 헤어나올 수 없었다.

작가 발자크 역시 부와 명성이라는 자기 욕망에 충실했다. 쓰지도 않은 원고 인세를 미리 받아가며 좋은 집과 가구들을 사들이기도 했다.

그는 대중의 기호에 따라 하루아침에 판세가 바뀌는 근대 저널리즘의 본성을 꿰뚫어 보았다. 덕분에 최초로 독자를 연구한 작가가 되었다. 당대 사회를 철저히 조사하여 대중의 욕망을 만족시키려고 노력했던 것이다. 그는 매일 밤 엄청난 양의 커피를 몸 속에 쏟아부어가며 쓰고 또 썼다. 그리고 이런 자신을 자랑스러워했다. 발자크의 이런 철저함과 낙관성 때문에 한낱 이야기꾼에 불과하던 소설가도 근대적 영웅으로 재탄생할 수 있게 되었다.

서울신문·수유+너머 공동기획
2010-07-19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