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4>고구려 ‘사신총’ 벽화의 용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4>고구려 ‘사신총’ 벽화의 용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입력 2015-01-29 23:48
업데이트 2015-01-30 16: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영기로 가득 찬 무량한 보주, 우주의 바다를 품다

글에서 용을 이야기하며 항상 ‘우주’를 거론하고 있다. 용이란 우주에 충만한 영기를 형상화한 것이라든지, 우주에 무량한 보주(寶珠)가 가득 차 있다고 말한다. 그러면 그 우주란 무엇인가.

이미지 확대
강우방 원장이 채색분석한 고구려 ‘사신총’ 벽화의 용.
강우방 원장이 채색분석한 고구려 ‘사신총’ 벽화의 용.
현대 천문학에서 말하기를 우주에는 무한한 은하계들이 있으며 그 각각의 은하계에 역시 무한에 가까운 태양계들이 있다고 한다. 우리가 사는 지구가 속한 태양계를 포함한 은하계를 ‘우리 은하’라고 부르며 그 안에 다른 태양계가 무한 개이다. 우주에는 1000억개의 은하가 있으며 은하마다 각각 1000억개의 별이 있다고 한다. 그리고 우주생성론을 빅뱅이론으로 풀고 있다. 즉 15억 년 전에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물질과 에너지는 작은 점에 갇혀 있었는데 우주시간 0초의 폭발 순간에 그 작은 점의 모든 에너지와 물질이 폭발하여 팽창하였고 그것이 우주가 되었다고 한다. 가설이지만 널리 인정되고 있다.

그런데 이미 불교에서 말하기를, 이 세계에는 하나의 태양, 하나의 달이 있다고 한다. 현대적인 의미에서는 태양계에 해당된다고 하겠다. 이 세계가 1000개가 모인 것이 소천세계(小千世界)로, 현대과학으로는 은하계에 해당한다. 소천세계가 1000개가 모인 것이 중천세계(中天世界), 그리고 중천세계가 다시 1000개가 모인 것이 대천세계(大千世界)인데, 이를 삼천대천세계(三千大天世界)라고 한다. 말하자면 대천세계란 1000의 3제곱으로 10억개의 세계이다. 결국 이는 우주 전체를 가리킨다. 그러나 계산해 보아 무엇 하랴.

우주의 별의 개수는 10의 23승이라 하지만 현대 천문학자들은 실제로 지구의 모래알보다 우주의 별이 많다고 한다. 그런데 불교에서는 10의 12승을 1조라 하고, 10의 52승은 항하사(恒河沙:갠지스강의 모래)로 하여, 수가 많을 때 갠지스 강의 모래알만큼 많다고 항상 말한다. 예컨대 석가모니가 말하기를, 내가 정각을 이루기 전 과거에도 갠지스 강가의 모래알만큼 수많은 사람들이 정각을 이루었다고 한다. 그런데 10의 52승은 불가사의, 10의 68승은 무량수(無量數)라 부른다. 이런 생각에 이르면 사람은 겸손해지지 않을 수 없다.

내가 용을 말할 때, 항상 그런 굉대한 우주를 의식하며 용은 무량한 보주의 집적이라 말하고, 무량한 보주가 우주의 영기가 압축하여 있다고 말한다. 나는 이렇게 설명하지만 물론, 용에 대한 중국의 문헌 가운데는 용과 보주의 관계를 언급한 것이 없다. 용의 본질을 파악해 나가면서 보주의 실체를 알게 되었고, 또 보주는 크든 작든 아주 작은 점이든 같은 가치를 지닌다고 말해 왔다. 또 영기문의 여러 속성들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이 ‘폭발성’이라고 강조하여 왔다.

고구려 사신총(四神塚) 벽화에서 용의 정면 얼굴과 입에서 나오는 보주를 처음 보았다. 용을 모르면 보주를 알 수 없다. 용의 조형은 일관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즉 코를 제1영기싹과 보주로 표현하고, 보주인 눈에서 영기가 발산한다. 이마에 작고 큰 이중의 보주가 있고 뿔은 제1영기싹으로 나타냈다. 혓바닥에는 크고 작은 제1영기싹을 부여했다. 얼굴 가의 초록색 영기문은 연이은 제1영기싹이고 그 밖의 붉은색의 영기문도 연이은 제1영기싹이다. 다리와 발톱들도 제1영기싹으로 이루어져 있다.

용을 앞에서 보아서 그린 단축법(短縮法)으로 표현한 예인데 양쪽으로 긴 영기문이 발산하고, 뒤 왼쪽으로는 꼬리로 보이는 것이 사라지고 있다. 바로 혀 앞의 보주는 용의 입에서 나온 것이다. 우주의 바다를 품은 무량한 보주를 상징한다. 용 한 분과 보주 하나는 같은 값이다. 그런데 모두 벽화의 그림을 괴수(怪獸)라고 부르니 안타까운 일이다. 그리고 별자리와 함께 그린 것을 보면, 옛 사람들은 우주의 무량한 별들을 보주로 인식한 것 같다.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2015-01-30 2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