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15] 석굴암 금강역사 두번 조각한 이유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15] 석굴암 금강역사 두번 조각한 이유

입력 2015-09-09 09:20
업데이트 2015-09-18 13: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국립경주박물관이 전시하고 있는 또 다른 석굴암 금강역사상의 머리 부분(국립중앙박물관 제공)
국립경주박물관이 전시하고 있는 또 다른 석굴암 금강역사상의 머리 부분(국립중앙박물관 제공)
경주 토함산 석굴암의 주실 입구 양쪽에는 웃옷을 벗어제치고 주먹을 치켜든 채 기세등등하게 본존불을 호위하고 있는 한 쌍의 금강역사가 있다. 불법(佛法)을 수호하면서, 어둠 속에서 갈피를 잡지 못하는 중생의 미망(迷妄)을 깨어 부수는 부처의 힘을 과시하는 존재다.

석굴암 금강역사를 앞에서 바라보았을 때, 왼쪽이 입을 벌리고 있는 ‘아’형, 오른쪽이 입을 꼭 다물고 있는 ‘훔’형이다. 산스크리트어에서 ‘아’는 입을 벌리는 최초의 음성이고, ‘훔’은 입을 다무는 마지막 음성이라고 한다.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것의 시작과 끝을 상징한다.

그런데 1913년부터 1915년까지 석굴암을 해체·보수하는 과정에서 인위적으로 깨버린 흔적이 역력한 금강역사상의 조각들이 수습됐다. 오른쪽 금강역사의 얼굴과 오른팔, 왼쪽 금강역사의 왼손이 그것이다. 얼굴 부분은 지금 국립경주박물관에 가면 만날 수 있다.

당시 금강역사상의 가슴 파편도 발견됐다고 한다. 석굴암에서 가까운 계곡에 버려져 있었다는데, 이후 어떻게 되었는지 실물은 물론 기록도 남아있지 않다. 다만 1967년 당시 문화재관리국이 ‘석굴암 수리공사 보고서’에 ‘커다란 금강역사의 가슴 부위가 이곳 계곡에 있다는 기록이 있어 수색하였으나 발견하지 못했다.’고 적어 놓았을 뿐이다.

미술사학계는 다양한 추론을 내놓았다. 첫째는 석굴암이 완성된 이후 화재와 같은 재난으로 금강역사상이 파손되는 바람에 새로 조성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두번째는 통일신라 말기에 석굴암을 중건하면서 옛 금강역사상을 폐기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세번째는 처음부터 두 쌍의 금강역사를 계획했다는 주장이지만 가능성은 낮다. 이밖에 현재의 석굴암 금강역사상을 조성하기에 앞서 연습삼아 만들어 본 흔적이라거나, 완성품을 만들려고 했으나 실패하여 파편을 남겼다는 주장도 있다.

이미지 확대
정면에서 바라본 석굴암 본존불. 주실로 들어가기 전 양옆에 금강역사상이 보인다.(서울신문 사진)
정면에서 바라본 석굴암 본존불. 주실로 들어가기 전 양옆에 금강역사상이 보인다.(서울신문 사진)
실제로 금강역사상은 본존불을 제외하고는 석굴암의 어떤 조각보다도 높은 돋을새김이어서 원각에 가깝다고 해도 좋을 정도다. 현재의 석굴암 금강역사상도 오른쪽의 ‘훔’형은 왼팔이 떨어져 나간 상태다. 그 만큼 조각이 쉽지 않았고, 파손되기도 쉬웠을 것이다.

하지만 석굴암 조각가에게 ‘기술의 한계’를 말하는 것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그런 만큼 금강역사상을 새로 만든 이유는 조각의 실패나, 다른 요인에 따른 파손의 결과가 아니라, 한 단계 높은 종교적 숭고함, 혹은 예술성을 확보하기 위한 결단으로 해석하고 싶다.

경주박물관의 금강역사가 흥분을 가라앉힌 상태의 근엄한 모습이라면, 석굴암 것은 과장된 표정으로 위협하듯 고개를 외로꼰 채 고개를 치켜들고 있다. 석굴암 금강역사상이 머리와 몸통, 그리고 다리가 서로 방향을 달리하는 이른바 삼굴(三屈) 자세로 공격성을 표현했다면, 경주박물관 것은 아무래도 정적이다.

그러니 손가락만으로 땅 속의 마구니를 굴복시키는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의 본존불까지 마무리지어 석굴암 조각을 모두 조립해놓고 보니, 이 엄숙하고 장엄한 세계를 수호하기에 이미 완성된 금강역사는 너무 약하게 보이지 않았을까.

이미 완성된 금강역사상을 폐기하고 새로 조각한다는 결정은 쉽지 않았겠지만, 이런 결단이 있었기에 석굴암은 더욱 완성도가 높아질 수 있었다. 지금의 금강역사상이 우리 눈에 지극히 자연스럽게 보인다면, 당시의 재조성 결단이 옳았기 때문이다. 아직 흔적을 찾아내지 못했을 뿐, 석굴암에 인생을 바친 석공들의 시행착오는 금강역사상에 그치지 않았을 것이다.

서동철 수석논설위원 dcsuh@seoul.co.kr

☞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시리즈 전체보기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