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19] 도굴꾼에 남아나지 않는 묘지명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19] 도굴꾼에 남아나지 않는 묘지명

입력 2015-09-18 09:09
업데이트 2015-09-18 13: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송강 정철 묘지명(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송강 정철 묘지명(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이미지 확대
고려 제11대 왕 문종의 장인인 이자연의 지석(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고려 제11대 왕 문종의 장인인 이자연의 지석(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시대 장례의식의 마지막 절차는 무덤 앞에 비석을 세우고 지석을 묻는 것이었다. 묘표(墓標)나 묘갈(墓碣), 신도비(神道碑)라고 하는 묘비에는 죽은 이에 관한 정보가 담기게 마련이다. 신도비는 일반적으로 묘표나 묘갈보다 죽은 이의 행적을 더욱 자세히 새겨 놓은 것을 일컫는다. 신도비는 글자 그대로 ‘귀신이 오가는 길에 세워진 묘비’라는 뜻이다. 죽은 이의 혼령이 비석이 세워지는 무덤 동남쪽으로 오간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지석(誌石)은 별도로 만들어 봉분 앞에 묻는다. 죽은 이의 행적을 담는 것은 묘비와 다르지 않지만 무덤의 위치와 방향이 내용에 덧붙여진다. 조선시대 문집을 엮은 ‘대동야승’(大東野乘)은 ‘묘갈은 묘밖에 세우고, 지석은 묘 앞에 묻는 것인데, 이는 만일 세월이 오래되어 비갈이 없어지면 지석을 상고하여 누구의 묘인가를 알고자 하는 데 있다’고 적었다.

이미지 확대
조선 후기 영의정을 지낸 정원용 묘지명(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 후기 영의정을 지낸 정원용 묘지명(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성종 12년(1481) 분청사기로 만든 이영유의 묘지명(숙명여대박물관 소장)
성종 12년(1481) 분청사기로 만든 이영유의 묘지명(숙명여대박물관 소장)
죽은 이의 덕과 공을 후세에 전하고자 묘비나 지석에 적는 글이 묘지명(墓誌銘)이다. 죽은 이의 성씨와 벼슬·고향 같은 기본적인 정보를 지(誌)라 하고, 죽은 이를 칭송하는 문학적인 글을 명(銘)이라 했다지만 실제로는 엄격하게 구분되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요즘엔 지석이라는 표현과 묘지명이라는 표현도 굳이 구별해서 쓰지 않는 것 같다.

지석의 가장 이른 사례는 4세기 중엽 고구려 안악3호분에서 보인다. 백제 무령왕릉의 주인을 알 수 있었던 것도 지석 때문이었다. 1971년 발굴 당시 널길 입구에서 2개의 장방형 판석을 발견했는데, 무령왕(462~523)과 왕비의 지석이었다. 특히 왕비의 지석 뒷면에는 왕의 매지권이 새겨져 있었다. 매지권(買地券)이란 죽은 사람이 지신(地神)으로부터 묻힐 땅을 사들인 증서다.

통일신라 시대에는 불교의 화장 풍습으로 지석의 모습을 찾기 어렵다. 같은 불교국가라도 고려시대로 접어들면 화장 이후 매장하는 풍습에 따라 검은 석판에 글을 새겨넣은 지석이 보인다. 조선시대가 되면 성리학의 가르침에 따라 매장이 일반화됐고, 도자기 산업의 발전으로 도자 지석이 크게 유행한다. 도자 지석은 시기별로 청자, 분청, 백자, 옹기 등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이미지 확대
충북 진천군 문백면 봉죽리의 송강 정철 무덤(문화재청 사진)
충북 진천군 문백면 봉죽리의 송강 정철 무덤(문화재청 사진)
문제는 이 지석을 무덤이 아니라 무덤 앞에 묻은 만큼 도굴꾼의 손을 타기 쉽다는 것이다. 지난해는 한 사립 박물관장이 무려 558점의 지석을 숨기고 있다가 경찰에 적발되기도 했다. 모두 도굴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 조선시대 가사문학의 대가인 송강 정철(1536∼1593)의 지석도 같은 운명이 됐다. 송강의 무덤은 경기 고양시에서 현종 6년(1665) 충북 진천으로 이장됐다. 그런데 진천의 송감 무덤 앞에 묻혀있어야 정상인 묘지명이 지금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다는 것이다.

대전지방경찰청 광역수사대가 붙잡은 장물아비의 치부책에 송강 묘지명도 들어있었다고 한다. 26.5x18㎝ 크기의 사각형 백자 23개로 이루어진 송강 지석은 조선시대 묘지명의 백미라고 해도 좋다. 중앙박물관은 이 묘지명을 지난 2000년 안팎에 구입했다고 한다. 그럼에도 송강의 후손들은 묘지명이 도굴된 사실을 까맣게 모르고 있었다. 도굴 사실이 확인되면 묘지명은 송강 후손들에게 다시 돌려주게 된다고 한다. 도굴꾼과 장물아비는 법에 따라 처벌을 받을 것이다. 그래도 죽은 자의 안식마저 빼앗은 죄에 대한 하늘의 처벌은 남는다.

서동철 수석논설위원 dcsuh@seoul.co.kr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시리즈 전체보기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