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당간과 당간지주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당간과 당간지주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16-03-18 23:06
업데이트 2016-03-19 00: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하늘로 치솟은 ‘당간’의 위엄… 사찰 영역 알리는 ‘깃대’

웬만큼 역사가 있고 규모도 갖춘 절이라면 들머리에는 당간지주(幢竿支柱)가 세워져 있기 마련이다. 두 개의 기다란 네모꼴 석재를 위로 올라갈수록 갸름하게 깎아 마주 세워 놓은 바로 그것이다. 당간지주는 쇠로 만든 당간을 튼튼하게 고정시키는 구실을 하는 구조물이다.

당간은 일종의 깃대라 할 수 있다. 꼭대기에는 당(幢)이라는 깃발을 달았다. 부처의 세계와 속세를 가르고 삿(邪)된 것을 물리치는 의미를 갖는다. 그러니 당간은 본격적인 사찰의 영역에 들어서기 직전에 자리잡는다. 절에 들어서는 사람들은 당간을 보고 마음을 추스른다.

이미지 확대
공주 갑사 철당간. 문화재청 제공
공주 갑사 철당간.
문화재청 제공
이미지 확대
리움미술관 소장 금동용두보당. 문화재청 제공
리움미술관 소장 금동용두보당.
문화재청 제공
이미지 확대
청주 용두사터 철당간. 문화재청 제공
청주 용두사터 철당간.
문화재청 제공
●절 입구서 삿된 것을 물리치는 의미

당간과 지주에 깃발까지 갖춘 구조물 전체를 ‘삼국유사’는 법당(法幢)이라고 불렀다. 오늘날까지 남아 있는 당간지주는 통일신라 것만 23기에 이르고, 고려·조선시대 것까지 합치면 수백 기에 이른다. 사찰을 구성하는 데 빠져서는 안 될 요소라는 인식의 결과일 것이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현재까지 당간과 지주가 온전하게 남아 있는 것은 한 기도 없다. 불완전한 모습의 당간조차 손가락으로 꼽을 정도만 남아 있다. 충북 청주 용두사터와 충남 공주 갑사, 경기 안성 칠장사 것이 대표적이다. 모두 철제 원통을 아래위로 연결해 높이 세웠다.

국보로 지정된 용두사 당간은 64㎝ 높이의 원통을 이어 만들었다. 당간에 새겨진 ‘용두사철당기’(龍頭寺鐵幢記)에 따르면 원통은 애초 30개였지만 지금은 20개만 남아 있다. 용두사가 건재하던 시절의 법당은 원통 높이만 19.2m에 이르는 당당한 모습이었을 것이다.

293자에 이르는 철당기는 아래부터 세 번째 철통에 돋을새김돼 있다. 고려 광종 13년(962) 청주 지역의 호족 일가가 사찰을 조성하는 과정에서 지역에 전염병이 돌자 부처에게 재앙의 예방과 사후의 극락 천도를 기원하는 뜻을 담아 법당을 세웠다고 적었다.

보물인 갑사 당간은 통일신라시대 중기 양식이다. 기단의 네 면에는 구름무늬가 새겨져 있다. 지름 50㎝의 원통 24개가 남아 있다. 당초에는 28개였지만 고종 30년(1893) 벼락을 맞는 바람에 4개가 떨어져 나갔다고 한다. 경기도유형문화재인 칠장사 당간은 조선시대 조성된 것으로 30개의 원통이 있었지만 지금은 15개만 보인다. 당간의 높이는 9.9m다. 이 3기의 당간으로 원형을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지만 그래도 깃대봉에 해당하는 꼭대기가 어떤 모습이었는지 알기 어려웠다. 다만 리움박물관에 남아 있는 고려시대 금동용두보당(銅龍頭寶幢)의 존재로 당간의 온전한 모습을 짐작만 할 뿐이었다.

그런데 1977년 어느 날, 국립경주박물관에 가마니에 싸인 무거운 수하물 하나가 배달됐다. 풀어 보니 황금빛이 찬란한 용의 머리였다. 당간(幢竿)의 꼭대기 부분이라고 판단하기는 어렵지 않았다. 턱밑에 도르레가 있었기 때문이다. 깃발을 달아 끌어올리는 기능을 한다.

이미지 확대
영주 출토 금동용머리. 문화재청 제공
영주 출토 금동용머리.
문화재청 제공
●마을 입구에 세우는 솟대… 안녕·풍요 기원

지금은 국립대구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금동용머리는 경북 영주시 풍기읍에서 하수도 공사를 하다 발견됐다고 한다. 9세기 통일신라시대 것으로 높이가 65㎝, 대각선 길이는 80㎝에 이른다. 이런 크기의 금속제 장식품을 올렸다면 당간의 규모도 상당했을 것이다.

영주에는 풍기에서 멀지 않은 숙수사터에 훌륭한 통일신라시대 당간지주가 있다. 의상대사가 조성한 부석사에도 당간을 잃은 지주가 남아 있다. 풍기읍내에서 찾아낸 용머리 장식을 숙수사나 부석사 당간과 연결 지어 상상해 보는 것이 무리는 아니다.

법당의 유행을 전통적인 천신(天神) 숭배와 연관 짓기도 한다. 강원도를 비롯한 일부 지역에서는 당간을 짐대라고도 부른다. 짐대란 마을의 안녕과 농사의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입구에 세우는 솟대의 다른 이름이다. 솟대가 마을 어귀에서 내부를 성역화하듯 당간도 사역(寺域)을 성역화하는 역할을 했다는 것이다. 법당은 중앙아시아와 중국에서도 만들어졌다. 중국에서 통일신라시대에 해당하는 것은 둔황 막고굴(莫高窟) 제331굴 것이 유일하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6-03-19 16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