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 수정안 반대 계속될까
이번 설문조사에서는 ‘일부 부처 이전’이라는 절충안에 대한 한나라당내 친박계의 답변이 눈길을 끈다.●김무성·홍사덕 ‘절충 검토’ 언급
이같은 미묘한 기류는 지난해 10월 친박계 좌장인 김무성 의원이 세종시 수정 필요성을 언급한데 이어 이달 초 6선의 홍사덕 의원이 5~6개 부처 이전의 절충안을 내놓은 것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홍 의원은 박 전 대표의 거듭된 원안 고수 선언에도 불구하고 ‘절충안 검토는 필요하다.’는 입장에서 물러서지 않고 있다.
친박계의 다른 중진 의원은 17일 “박 전 대표가 원안고수를 주장하니까 현재 원안고수 말고 다른 의견을 내놓을 친박계 의원은 없겠지만, 절충안을 논의해야 할 필요성은 여전히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부산 지역의 한 친박 의원도 “타협을 해야 한다는 노력 차원에서 절충안 검토는 이야기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친박연대 소속 한 의원은 “박 전 대표가 이달 초 ‘2010 대구·경북 신년교례회’에서 올해 첫 화두로 던진 게 ‘신뢰와 화합’ 아니었느냐.”면서 “국민과의 신뢰를 지키기 위해 당연히 9부2처2청이 모두 세종시로 가는 ‘원안’을 고수해야 하겠지만, 화합을 위해 절충안도 필요한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친박계 일부가 절충안을 고심하는 이면에는 충청권의 여론 변화를 감안한 ‘출구 전략’의 성격이 짙은 것으로 보인다. 충청 민심이 정부의 수정안을 지지하는 쪽으로 확연히 기울 것에 대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여론변화 대비 출구전략 성격
수도권의 한 친박 의원은 “여권의 충청지역 여론 설득에도 불구하고 여론이 바뀌지 않을 경우 친이계가 절충안을 들고 나올 수 있다.”면서 “그 때는 교육·과학 관련 일부 부처를 세종시로 이전시키는 절충안에 대한 논의가 자연스럽게 나올 수 있다.”고 내다봤다.
하지만 다른 친박계 중진 의원은 “대통령이 부처를 1개도 내려보낼 수 없다는 의지가 워낙 강한데다 ‘부처 이전이 9개는 안되고 3개는 된다.’는 식의 논리도 궁색하기 때문에 절충안으로 타협점을 찾을 가능성은 높지 않아 보인다.”고 지적했다.
주현진기자 jhj@seoul.co.kr
2010-01-18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