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빅3 기싸움 키워드

민주 빅3 기싸움 키워드

입력 2010-09-09 00:00
수정 2010-09-09 00: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동영 - 진보, 정세균 - 신의, 손학규 - 대세

민주당의 유력 당권주자인 정세균 전 대표와 손학규 전 대표, 정동영 상임고문 간의 기싸움이 치열하게 전개되기 시작했다. 8일 정동영 고문의 출마선언을 끝으로 ‘빅3’는 전당대회에서 서로를 공격할 ‘키워드’를 드러냈다.

자신의 장점을 극대화하고, 상대의 약점은 집요하게 물고 늘어지는 정체성 경쟁이 불붙었다.

정 고문은 출사표에서 담대한 진보 노선, 당의 정통성 회복, 당원이 주인인 정당을 강조했다. 진보와 정통성을 부각시킨 것은 한나라당 출신인 데다 중도의 입장에서 실사구시를 강조하는 손 전 대표를 공격하려는 포석으로 분석된다. 당원의 권리를 강조하는 이유는 정 전 대표가 최근 2년 간 당권을 장악했지만 당원 관리에 소홀해 당세를 약화시켰다고 비판하기 위함이다.

반면 정 전 대표는 출사표에서 ‘선당후사’와 ‘대선후보군 육성’, ‘정치적 신의’를 부각시켰다. 손 전 대표와 정 고문이 당의 미래보다는 대권에 관심이 많아 대표가 되면 줄세우기만 할 것이라는 비판인 셈이다. 또 정 전 대표가 “김대중·노무현 두 전직 대통령을 한 번도 배신하지 않았다.”고 강조하는 이유는 한나라당 시절 두 전직 대통령을 강하게 비판한 손 전 대표와 공천 탈락에 반발해 탈당했던 정 고문의 과거를 들춰내기 위한 것이다.

손 전 대표는 ‘집권 의지’, ‘잃어버린 600만표’ 등을 키워드로 택해 출사표가 흡사 대선 출마선언문처럼 보인다. 당권 후보 가운데 지지도가 가장 높다는 것을 강조해 2012년 대선의 유일한 대안이 자신이라는 점을 내세우는 동시에 정 전 대표에게는 ‘약한 관리형 대표’라는 이미지를 씌우고, 정 고문을 향해선 ‘최대 표차로 패했던 대권 후보’라고 공격할 뜻을 분명히 했다. 600만표는 2002년 대선 당시 노무현 후보의 득표 1200만표와 2007년 정동영 후보가 얻은 600만표의 차이를 가리킨다.

이창구·강주리기자 window2@seoul.co.kr
2010-09-09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5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5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