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경기지사는 17일 개헌에 대해 “지금 시점에서는 가능하지도 않고, 바람직하지도 않다.”면서 “권력의 주변이 이해관계 배경을 갖고 개헌 문제를 논하는 것은 마땅하지 않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오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당과 청와대, 청와대와 국회를 분리하고 명실상부한 지방자치를 해야 한다.”며 권력분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청와대 권력을 두고 ‘제왕적’이라고 거듭 꼬집었다. 그러나 권력분산을 위한 개헌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꼭 개헌이 아니어도 법률적으 로 손보고 정치풍토를 바꿔야 한다.”고 일축했다.
김 지사는 또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의 민간인 사찰을 재수사할 경우 청와대 ‘윗선’이나 권력 실세가 배후라는 의혹이 사실로 드러나면 “(청와대가) 수사결과에 따라 당연히 (법적) 책임을 져야겠지만, 법률적 책임뿐 아니라 도덕적 문제까지 감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지사는 감세에 대해서 “한나라당 안상수 대표의 안에 가깝다.”면서 “감세 자체는 포퓰리즘이 아니다.”라고 자기 목소리를 분명히 냈다.
허백윤기자
baikyoon@seoul.co.kr
김 지사는 오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당과 청와대, 청와대와 국회를 분리하고 명실상부한 지방자치를 해야 한다.”며 권력분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청와대 권력을 두고 ‘제왕적’이라고 거듭 꼬집었다. 그러나 권력분산을 위한 개헌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꼭 개헌이 아니어도 법률적으 로 손보고 정치풍토를 바꿔야 한다.”고 일축했다.
김 지사는 또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의 민간인 사찰을 재수사할 경우 청와대 ‘윗선’이나 권력 실세가 배후라는 의혹이 사실로 드러나면 “(청와대가) 수사결과에 따라 당연히 (법적) 책임을 져야겠지만, 법률적 책임뿐 아니라 도덕적 문제까지 감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지사는 감세에 대해서 “한나라당 안상수 대표의 안에 가깝다.”면서 “감세 자체는 포퓰리즘이 아니다.”라고 자기 목소리를 분명히 냈다.
허백윤기자
baikyoon@seoul.co.kr
2010-11-18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