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1/4 ‘통일돼도 北진출 안해’”

“중소기업 1/4 ‘통일돼도 北진출 안해’”

입력 2011-07-01 00:00
업데이트 2011-07-01 08: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통일땐 ‘북한인력 활용’ 가장 기대

남북경협의 불확실성 등의 여파로 국내 중소기업 4분의 1 가량이 통일 이후에도 북한 지역에 진출할 의사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IBK경제연구소는 3월14일부터 25일까지 국내 23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통일인식 및 대응실태를 조사한 결과, 응답기업 중 55.6%가 통일은 매우 또는 다소 중요하다고 답했지만 충분히 준비했다는 기업은 한 곳도 없고 준비중(1.7%)이거나 준비할 예정(25.0%)인 곳도 많지 않았다고 1일 밝혔다.

전혀 준비하지 않고 있다는 응답이 71.6%에 달했고 앞으로도 준비할 계획이 없다는 응답도 1.7%였다.

통일이 되더라도 북한지역에 진출할 의향이 없다고 답한 기업은 전체 응답기업 중 25.6%인 58곳이었다.

또 123곳(56.4%)은 ‘상황을 보고 판단하겠다’고 밝혀 의향높음(5.1%), 의향있음(12.8%)과 큰 차이를 보였다. 이는 개성공단 등 남북경협 과정에서 북한지역의 불확실성이 부각됐기 때문으로 보인다.

통일이 중소기업에 미칠 긍정적인 영향으로는 ‘북한인력 활용’이 34.5%로 가장 높게 나타나 최근 중소기업의 인력 부족상황을 반영했다.

기업들은 시장 확대(20.6%), 북한개발 특수(13.0%), 동북아거점 확보(9.9%) 등에 대한 기대감도 보였으나 통일비용 부담(44.8%), 사회경제적 혼란(38.8%), 미래상황 불투명(12.9%) 등의 부정적인 영향을 더 우려했다.

중소기업들은 통일 대비 차원에서 정부가 중점적으로 추진해주기를 바라는 과제로 법·제도 마련, 재원확보, 북한진출 지원, 북한지역 인프라 구축, 정보제공 및 가이드라인 제시, 개성공단 활성화 등을 꼽았다.

조봉현 IBK경제연구소 연구위원은 통일이 이뤄질 경우 동북아 경제질서, 대외신용도, 금융시장 등이 급변할 것으로 예상하면서 “통일이라는 큰 기회를 살리려면 중소기업은 스스로 전략을 세우고 정부도 새로운 경영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