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총선 거취’ 놓고 정계 관측 분분

박근혜 ‘총선 거취’ 놓고 정계 관측 분분

입력 2011-07-17 00:00
업데이트 2011-07-17 10: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역구 출마ㆍ불출마ㆍ비례대표 등 다양한 說 제기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의 내년 ‘총선 거취’를 놓고 정치권에서 갖가지 관측이 분분하다.

특히 한나라당 7ㆍ4 전당대회 과정에서 원희룡 최고위원이 내년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데 이어 호남 지역 민주당 의원들이 영남이나 수도권 출마 의사를 밝히면서 박 전 대표가 어떤 선택을 내릴 지가 호사가들의 입에 벌써부터 오르내린다.

정치권에서는 지역구 출마ㆍ총선 불출마ㆍ비례대표 출마ㆍ수도권 출마 등이 가능한 시나리오로 거론되지만, 친박(친박근혜)계 인사들은 “전적으로 박 전 대표가 결정할 일로, 내부에서 논의되거나 한 적은 없다”는 입장이다.

다만 “박 전 대표도 이에 대한 고민을 할 것”이라는 목소리는 적지 않다.

◇ 현 지역구 출마 = 대구 달성군에 그대로 출마하는 경우다. 1998년 4ㆍ2 재보선 당시 여당 소속으로 막강한 조직력을 자랑하던 국민회의 엄삼탁 후보 대신 자신을 선택해 준 지역구민에 대한 예의이자 애정의 표시라는 해석이다.

또 예측가능한 ‘정도(正道) 정치’를 추구하는 박 전 대표의 정치 스타일을 감안할 때 현 지역구 출마 가능성이 크다는 예상도 나온다.

다만 출마하면 당선은 ‘떼어 놓은 당상’이라는 관측이 유력한 가운데, 대선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원내에 남아있는 것이 더욱 더 유리할 것이라는 현실적 판단을 할 수 있다는 해석도 있다.

한 친박 의원은 “국회의원으로 움직이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면서 “대권에 도전한다면 조금이라도 더 유리한 위치를 차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유력한 대권 후보가 지역구에 연연하는 모습을 보여서는 ‘큰 꿈’을 이루는데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 총선 불출마 = 내년 대선에 ‘올인’(다걸기) 하겠다는 의지를 상징적으로 피력하는 조치로 평가될 수 있다.

또 내년 총선이 한나라당에 어려운 만큼 전국적 지지도가 높은 박 전 대표가 전국을 돌며 총선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총선에 출마하지 않아야 한다는 여론을 받아들이는 결과일 수도 있다.

물론 반론도 있다. 박 전 대표가 지역구에서 선거운동을 하지 않더라도 당선될 가능성은 큰 것으로 보이는 만큼, 출마하더라도 전국적 총선 지원유세에는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지난 2004년 17대 총선 당시 박 전 대표는 지역구에 출마했지만, 당 대표로서 지역구보다는 전국을 돌며 지원유세에 진력해 ‘탄핵역풍’ 속에서도 개헌 저지선(100석)을 넘겼다.

이와 함께 만약 대권을 차지했을 경우, 1년도 안돼 보궐선거를 치러야 하고 이는 지역 유권자들에 대한 예의가 아니라는 점에서 불출마를 검토하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제기된다.

◇ 비례대표 출마 = 김영삼 전 대통령이 20년 전 지나간 길이다. 김 전 대통령은 14대 대선이 치러진 1992년 3월 총선에서 지역구(부산 서구) 의원이 아닌 민자당의 전국구(비례대표) 후보로 나섰다.

그러나 친박 내부에서는 부정적 인식이 더 많다.

대권을 잡지 못했을 경우를 대비해 국회의원 직에 집착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올 수 있다는 것이다. ‘편하게’ 국회의원직을 유지하려고 한다는 비판이 제기될 것도 우려한다.

다만 원내에 적을 두면서도 전국적 총선 지원도 가능하다는 점에서 전혀 불가능한 시나리오는 아니라는 시각도 일부 있다.

◇ 수도권 출마 = 가장 가능성이 적은 선택지로 꼽힌다. ‘정치적 쇼’라는 인상이 너무 짙다는 것이다. 박 전 대표가 ‘정치적 이벤트’를 생래적으로 싫어한다는 점에서도 이를 택할 가능성은 낮다는 게 대체적 관측이다.

이와 함께 4선을 할 동안 변함없는 지지를 보여준 달성군 유권자는 물론 수도권 유권자들에 대한 예의가 모두 아니라는 해석도 이 같은 가능성을 낮게 보는 이유 중 하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