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오, 연일 대일 강경발언하는 배경은>

<이재오, 연일 대일 강경발언하는 배경은>

입력 2011-07-17 00:00
업데이트 2011-07-17 15: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재오 특임장관이 연일 트위터와 페이스북을 통해 일본을 향한 강경 발언을 쏟아내고 있다.

이 장관은 지난 16일 일본 자민당 의원들의 울릉도 방문 계획에 대해 “모든 조직을 동원해서라도 국민의 이름으로 울릉도 진입을 막겠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이재오 특임장관
이재오 특임장관


전날에는 일본 외무상의 대한항공 이용 자제 지시에 대해 “우리나라 영토에서 우리나라 비행기가 비행하는데 일본이 무슨 참견인가”라고 비난했다.

이처럼 이 장관이 목소리를 높이는 데는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이 갈수록 노골화하는 상황에서 더는 좌시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특히 다소 민감할 수도 있는 외교적 문제에 대해 국무위원으로서 거침없이 소신 발언을 하는 데는 이 장관 개인의 인생사와도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장관이 종종 인생의 갈림길로 꼽는 순간은 굴욕적인 한ㆍ일 국교 정상화에 반대하던 대학생들이 박정희 군사정권에 항거한 1964년 6ㆍ3 항쟁이다.

당시 시위주동자로 중앙대에서 제적당한 이 장관은 군에 강제 징집돼 3년 뒤 만기 제대했지만 3선 개헌 등을 이유로 복교를 거부당했고, 이후 민주화 운동의 길로 들어서면서 5번 투옥돼 10년간 감옥살이를 했다.

한 측근은 17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이 장관의 인생이 사실상 굴욕적인 한ㆍ일 회담으로 송두리째 바뀌었기 때문에 독도 문제와 이 장관 개인의 정치적 정체성은 떼려야 뗄 수 없는 부분”이라고 전했다.

이 때문에 일본의 군국주의 부활 움직임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지난 1971년 민주수호청년협의회를 결성한 이 장관은 사토 에이사쿠(佐藤英作) 당시 일본 총리의 방한에 대해 반대 성명을 내고 시위를 벌인 적도 있다.

매일같이 트위터에 ‘독도 단상’을 올리며 독도 문제에 깊은 관심을 보여 온 이 장관은 일본 자민당 의원들이 울릉도 방문을 강행하면 직접 현장을 찾거나 반대 시위에 동참하는 등 저지에 주력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이 장관은 지난 4월12일 직접 독도를 방문해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 방문을 건의하겠다고 밝힌 데 이어 15일에는 “독도종합해양과학기지가 완성되면 대통령도 독도에 다녀오는게 좋을 것 같다”고 제안하기도 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