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與비대위, SNS 역량지수 ‘계륵’ 고민

與비대위, SNS 역량지수 ‘계륵’ 고민

입력 2012-01-14 00:00
업데이트 2012-01-15 10: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역량지수를 개발해 4ㆍ11 총선 공천심사에 반영한다는 방침을 세운 한나라당이 구체적인 반영비율을 놓고 고민에 빠졌다.

한나라당은 애초 젊은 층의 ‘넷심’을 잡기 위해 트위터와 페이스북 등 SNS 활동정도를 평가해 공천심사에 최대 5%까지 반영하는 방안을 검토했다.

그러나 여러 현실적 한계 때문에 반영비율이 1∼2% 수준을 넘기 힘들다는 의견이 힘을 얻으면서, 이번에는 자칫 ‘보여주기식’ 평가기준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역량지수 개발을 맡은 한나라당 조현정 비상대책위원은 15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5%는 지나치다. 지난 비대위 전체회의에서도 반영비율을 1∼2% 수준으로 해 달라고 요청했다”고 밝혔다.

한나라당의 취약지대인 ‘SNS를 통한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해야 하는 것은 분명하지만, 공천결과를 좌우할 요소가 되어선 곤란하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공천 후보자의 SNS 역량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잣대가 마땅치 않다는 이유도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비대위에서는 후보자의 트위터 역량을 ‘F(x)=(팔로어 수-팔로잉 수)+팔로어 수×0.1+트윗량×0.1+리스트된 수’란 공식을 통해 측정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하지만 트위터는 주민등록번호 등을 통한 본인인증 절차 없이 이메일 주소만으로 가입할 수 있기 때문에, ‘유령 가입자’를 대량으로 만들어 팔로어수를 늘리는 편법이 가능하다. 페이스북도 마찬가지다.

아울러 주민들의 SNS 사용률이 도시지역보다 현저히 떨어지는 농어촌 지역 출마 후보자들이 상대적으로 불리한 상황에 처하게 된다는 점도 해결해야 할 과제다.

문제는 그렇다고 SNS 역량지수의 반영비율을 지나치게 낮추면 ‘보여주기식’ 개선이란 비판에 직면할 것이란 점이다.

공천심사 기준 및 반영비율을 확정하는 비대위 정치ㆍ공천개혁분과위 소속인 김세연 비대위원은 “5%는 너무 높다는 데 공감한다”면서도 “만약 반영비율을 1∼2%로 한다면 하나마나한 얘기란 지적을 받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정치ㆍ공천개혁분과위의 한 자문위원도 “SNS를 잘 사용하지 못한다고 크게 불이익을 줘선 안 된다. 다만 잘하는 사람은 1∼2%라도 감안해 주는 것이 좋지 않겠느냐”면서 “가산점 형태를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하지만 반영비율을 크게 해 공천심사 결과에 영향을 미치게 하기는 어렵다”면서 “기껏해야 3% 이내에서 고려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