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박근혜 ‘국민대통합 선대위’로 지지율 반등 모색

박근혜 ‘국민대통합 선대위’로 지지율 반등 모색

입력 2012-10-01 00:00
업데이트 2012-10-01 08: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도성향ㆍ과거사 관련 저명인사 두자릿수 영입 추진

새누리당 박근혜 대선후보가 ‘국민대통합 선대위’ 구성을 통해 추석 이후 지지율 반등을 모색한다.

박 부호는 지난 10일 인혁당 발언 논란 이후 과거사 인식에 발목이 잡히면서 50%에 육박하던 지지율이 40% 초반까지 하락하는 사태를 경험했다.

결국 지난 24일 기자회견을 통해 “5ㆍ16과 유신, 인혁당 등은 헌법가치가 훼손되고 대한민국의 정치 발전을 지연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생각한다”며 사과를 표명하는 ‘승부수’를 띄웠다.

박 후보측은 이후 과거사 논란은 잦아들었다고 자평한다. 그러나 과거사 논란 이전의 지지율을 회복하지 못했다는 것이 대체적 평가다. 민주당 문재인ㆍ무소속 안철수 후보의 영향력도 쉽사리 꺾이지 않는 분위기다.

이 때문에 봉하마을 방문 등 국민대통합 행보와 안대희 전 대법관 영입 등에 힘입어 지지율이 상승했을 당시의 수준까지 치고 올라가기 위해서는 ‘한 방’이 필요하고, 이는 중앙선대위에 참신하고 국민의 지지를 받는 외부인사를 얼마나 영입하느냐에 달려있다는게 캠프의 공통된 인식이다.

캠프의 한 관계자는 1일 “박 후보는 ‘제2의 도약’을 해야할 시점이고 그 첫 시동이 중앙선대위원장과 국민대통합위원장 등 외부인사 영입”이라고 말했다.

그는 “박 후보가 잘 나가다가 과거사 문제나 측근비리 의혹 등으로 변화 의지나 대통합의 진정성에 대해 의심을 받은 만큼, 이를 깨려면 취약한 계층이나 과거사의 아픔과 관련된 인사들과 함께 일하겠다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재인-안철수 후보쪽에 기운 중도층을 유인할 수 있는 외부인사를 선대위원장으로 영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제다. 과거사 해법의 진정성을 보여준다는 차원에서 적임자를 국민대통합위원장으로 인선하는 것도 못지 않게 중요하다.

김종인 국민행복추진위원장이 지난해 말 비대위부터 합류한 뒤 경선까지 잘 이끌어오면서 ‘선발투수’ 역할을 잘해줬고 안대희 정치쇄신특위 위원장이 과거사 논란 와중에서도 정치쇄신안으로 박 후보를 뒷받침하는 중간계투 역할을 잘 수행했다면 이제는 승부를 결정지을 ‘마무리 투수’는 선대위원장이나 국민대통합위원장이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공동 선대위원장에는 중도개혁 성향의 서울대 송호근 교수와 함께 인지도도 높고 국민의 지지를 받을 수 있는 사회저명 인사와 접촉 중이라는 후문이다.

국민대통합위원장으로는 유신 시대 대표적 반체제 인사로 ‘오적’을 썼던 시인 김지하씨나 김대중ㆍ노무현 정부 시절 핵심 인사들이 거론된다.

박 후보측은 이들 외에도 인지도ㆍ영향력이 있는 인사를 최소 두자릿수는 영입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한 핵심 인사는 “추석 이후 TV 화면에는 기존과는 싹 바뀐 인사들이 나올 것”이라며 대규모 외부인사 영입을 시사했다.

박 후보도 지난 28일 대구를 방문하면서 기자들과 만나 “100% 국민대통합위원회나 이런 데에 외부인사들을 모시려고 지금 연락을 많이 드리고 있고, 추석 때에도 그런 구상을 많이 할 것”이라며 “지난번에 (외부인사가) 다 발표가 안됐기 때문에 추가 인선도 앞으로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박 후보는 ‘국민대통합형 선대위’를 발판으로 그동안 과거사 논란 때문에 앞으로 나가지 못했던 정책 및 국민대통합 행보에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박 후보의 승부수가 당초 뜻대로 통할지는 속단하기 힘들다. 외부인사 영입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데다, 영입파의 면면이 국민의 ‘기대 수준’에 미치지 못할 경우에는 문재인 후보나 안철수 후보와의 상대 비교에서 점수를 도리어 까먹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