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상향식 공천의 덫…한달간 수천곳서 경선 불가피

與 상향식 공천의 덫…한달간 수천곳서 경선 불가피

입력 2014-03-16 00:00
업데이트 2014-03-16 09: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누리당이 6·4 지방선거부터 후보자 선출에 상향식 공천을 원칙으로 정하면서 예기치 못한 어려움에 빠졌다.

중앙당 공천관리위는 오는 4월25일까지 17개 광역단체장은 물론 226명의 기초단체장, 3천600여명의 광역·기초의원도 모두 경선을 마치도록 했다.

한 달 남짓한 빠듯한 기간에 끝내야 하는 일정이다.

특히 구청장, 시장·군수는 내부 경쟁이 치열해 경선을 열어야 할 곳도 상당 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방의원 역시 과거에는 사전 교통정리가 가능했지만 이번에는 사정이 다르다.

이 가운데서도 기초단체장이 다른 지역보다 많은 서울(25개), 경기(31개)는 몇 군데 여성 우선추천지역 등을 제외하고는 경선이 불가피해 광역단체장 경선을 피해 일정을 조정하고 경선에 참여할 유권자를 확보하는 데 비상이 걸렸다.

예컨대 경선으로 구청장 후보를 뽑는 선거구에서는 서울시장 경선에서 다시 한번 당원 및 일반 유권자의 참여를 독려해야 할 형편이다.

또 서울, 경기 모두 광역단체장 후보는 4차례에 걸친 권역별 순회 경선으로 뽑기로 했기 때문에 이러한 일정도 겹치지 않도록 고려해야 한다.

여기에 권역별 경선은 후보자간 협의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신경전이 벌어지면서 일정 합의가 늦어진다면 기초단체장과 지방의원 경선 일정 확정도 지연될 개연성이 크다.

김성태 서울시당 위원장은 16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상향식 공천에서는 후보자들이 경선을 요구하면 과거와 달리 개최할 수밖에 없다”면서 “서울시장과 각 지역의 구청장, 시·구의원 경선 일정을 조정하는 게 보통 어려운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또 현역 당협위원장이 기초단체장 경선에 출마해 위원장직에서 사퇴해야 하는 곳은 상황이 더욱 복잡해진다. 서울시장 경선을 관리할 당협위원장이 공백상태에 빠지게 때문이다.

서울시당 내부에서는 이렇게 당협위원장 공석이 되는 지역의 관할을 누가 하느냐를 놓고 신경전을 빚기도 했다. 공석이 된 당협위원회의 관리권을 시당이 넘겨받아야 한다는 주장과, 곧바로 후임을 뽑자는 의견이 충돌한 것이다.

이는 서울시장 경선 판도에도 결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이다.

결국 서울시당은 최근 논란 끝에 현 당협의 수석부위원장이 지방선거까지만 관리하는 절충안에 합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