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윤병세 “안보리 결의 철저 이행”北 해외노동자 문제도 부각
통상 갈등·테러리즘 대처 숙제
![새누리당 이현재(왼쪽) 정책위의장과 청와대 강석훈 경제수석이 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외교안보 부처 신년 업무보고 자리에서 만나 대화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01/04/SSI_20170104211747_O2.jpg)
연합뉴스
![새누리당 이현재(왼쪽) 정책위의장과 청와대 강석훈 경제수석이 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외교안보 부처 신년 업무보고 자리에서 만나 대화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01/04/SSI_20170104211747.jpg)
새누리당 이현재(왼쪽) 정책위의장과 청와대 강석훈 경제수석이 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외교안보 부처 신년 업무보고 자리에서 만나 대화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외교부는 ‘전환기 국제정세하 능동적 한국 외교’를 주제로 한 업무보고에서 올해가 냉전 종식 후 가장 엄중한 외교안보 환경이라고 진단했다. 북한의 핵미사일 고도화가 계속되고 있으며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대한 중국의 압박이 커지고, 또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의 아시아정책이 바뀔 가능성도 제기되기 때문이다. 또 통상 갈등, 테러리즘 확대 등도 올해 한국 외교가 풀어야 할 ‘도전요인’이라고 외교부는 설명했다.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01/05/SSI_20170105004336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01/05/SSI_20170105004336.jpg)
양자 외교 부분은 과제가 만만치 않다. 윤 장관 등이 ‘역대 최상의 관계’라고 자평해왔던 한·미 관계는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재설정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윤 장관은 “미국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이 취임하면 빠른 시일 내에 회담을 할 수 있도록 미국 측과 긴밀히 소통하고 있다”면서 “신행정부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의회나 학계, 재계 대상의 공공외교도 적극 전개할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사드 문제 대응은 정부 부처 협의 등을 통해 해나가기로 했다. 또 일본과는 일본군 위안부 합의를 충실히 이행하는 한편 역사 문제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윤 장관은 “새해 어느 때보다 어려운 외교 환경이 펼쳐질 것”이라면서 “지난 4년간의 성과를 토대로 외교정책의 일관성·연속성을 유지하는 가운데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강병철 기자 bckang@seoul.co.kr
2017-01-05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