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7년 이후 30년간 쌓인 과제 제도권 틀 내에서 해법 모색…‘최순실’ 막을 시스템 구축을
대의민주주의 작동 삐걱대면시민권력, 다시 정치 심판할 것
정국정상화 방안 논의
정세균 국회의장과 교섭단체 4당 원내대표들이 13일 국회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 파면 후 정국 정상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회동하고 있다. 왼쪽부터 국민의당 주승용·더불어민주당 우상호·자유한국당 정우택 원내대표, 정 의장, 바른정당 주호영 원내대표.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헌정 사상 첫 파면된 대통령이란 오명을 쓴 지 사흘이 지난 13일까지도 박근혜 전 대통령과 친박 세력들은 여전히 불복하며 재집결에 나서는 형국이다. 그래도 역사의 흐름을 거스르진 못할 터. 이제 우리는 가 보지 못한 길을 걸어야만 한다. ‘박근혜 이후 체제’를 어떻게 직조하느냐에 따라 대한민국 역사는 달라질 것이라는 게 학계,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박 전 대통령이 탄핵됐다고 촛불까지 사그라들진 않을 것이다. 그러나 지금껏 광장에서 쏟아져 나온, 1987년 민주화 이후 30년간 누적된 과제들은 이제 제도권의 틀에서 머리를 맞대고 해법이 모색돼야 한다. 늦어도 5월 9일까지 차기 대통령을 뽑아야 한다. 두 달도 남지 않은 짧은 기간, 우린 미래의 리더십을 선택해야 한다.
또 지난 9년간 퇴행된 정치를 복원시키는 한편 두 번 다시 ‘최순실 국정 농단’ 같은 전근대적 사건이 재현되지 않도록 담보하기 위한 해법을 찾아야 한다. 권력구조 개편을 비롯한 개헌 이슈와 검찰·재벌체제 개혁 등도 짚고 넘어가야 한다.
결국 다시 민주주의다. 박상철 경기대 정치대학원장은 “이번 탄핵은 기존 시스템이 아닌 국민저항권의 발동에 따른 ‘초일상의 정치’의 결과물”이라면서 “정치적 민주주의는 완성됐고, 경제민주화가 과제라고들 생각했는데 아니었다. 원점에서 다시 정치·경제 민주주의를 함께 이뤄야 하고, 누가 집권하든 통제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정희 한국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정치권은 시민사회 요구를 면밀하게 살펴 대의민주주의가 제대로 작동하도록 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언제든 시민은 광장에 나올 테고, 정치를 심판하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2017-03-14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