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주도 여야정협의체 괜찮다 생각”…野 역제안에 긍정 반응
더불어민주당 우원식 원내대표는 2일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발사대 추가 반입 보고누락 파문에 대한 청문회 또는 국정조사 실시 여부와 관련, “지금 청와대에서 조사를 하고 있지 않느냐. 조사결과를 보고 판단해도 늦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우 원내대표는 이날 YTN 라디오 ‘신율의 출발 새아침’에 출연, 이같이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앞서 당 사드대책특별위는 전날 이번 보고 누락 파문을 포함, 사드 배치 과정 전반의 문제점을 들여다보고 진상규명 후 책임자 처벌을 위한 청문회 개최를 요구한 바 있다. 심상정 대표는 국정조사를 요구했다.
우 원내대표는 자유한국당 정우택 당 대표 대행 겸 원내대표가 문재인 대통령이 제안한 여야정협의체 불참 의사를 밝히면서 국회가 주체가 되는 협의체 구성을 역제안한 데 대해 “자유한국당으로선 총리 인준 처리를 연기해달라고 표결에 불참한 만큼, 아무일 없다는 듯 그냥 하긴 어려운 상황”이라며서도 “말씀을 자세히 보니 여야정협의체 참여를 완전히 거부하겠다는 건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오히려 여소야대 협치정국에서 국회가 주도하는 여야정협의체, 저는 괜찮다고 생각한다”며 “여야가 모여 여야정협의체를 주도하는 것은 해볼 수 있는 일이다. 정 권한대행이 오늘 의원 워크숍에서 돌아오면 곧 만나서 상의도 하고 의견도 나눠볼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우 원내대표는 야권이 강경화 외교부 장관 후보자와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에 대해 낙마를 벼르는데 대해 “공직자 검증은 국회의 아주 중요한 의무로, 국민 앞에서 엄격하게 검증하고 야당으로서 다양한 의혹을 제기하는 것은 필요한 일”이라고 전제했다.
그는 그러나 “의혹들이 실제로 얼마나 사실에 부합하는지, 또는 혹여나 자질, 역량 측면보다는 너무나 신상털기 쪽으로 가는 건 아닌지…이런 걸 다 판단해 가면서 국민이 판단할 수 있는 검증이 국회에서 이뤄져야 한다”며 “엄격하게 청문회 목적에 맞는 ‘명품 청문회’를 만들어보자고 야당에게 제안 드리는 바”고 밝혔다.
이어 “팩트를 갖고 이야기하는 건 괜찮은데 과도하게 의혹을 부풀리는 것들이 있다”며 “명백한 실정법 위반 사항이 구체적으로 근거 있게 드러나면 자진사퇴를 할 충분한 사유가 되지만, 아직은 그런 경우는 없는 게 아닌가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우 원내대표는 이른바 ‘문자폭탄’ 논란과 관련, 야권이 반발하며 공동대응도 검토하는데 대해 “SNS나 통신수단이 굉장히 발달해 있어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방식에 대해 뭐라고 할 수는 없는 것 같다. 문자를 보내는 것 자체는 법적으로 문제제기할 수는 없다”며 “단지 그 내용이 과도하게 비난한다거나 인신모독하는 일이 있어선 안된다. 좋은 문자 보내기 운동 같은 것을 벌이면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