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외교부가 주한미군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문제와 한반도 정세 등을 논의한 20일 한중 외교차관 전략대화를 통해 한국에 정치적 결단을 요구했다고 연합뉴스가 20일 보도했다.
‘1년 4개월만’에 열린 한·중 차관급 전략대화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1년 4개월만’에 열린 한·중 차관급 전략대화
겅솽(耿爽)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임성남 외교부 1차관과 장예쑤이(張業遂) 외교부 상무(常務)부부장간 베이징(北京) 한중전략대화의 성과를 묻자 이런 입장을 밝혔다.
겅 대변인은 “이번 대화에서 양측이 국정 및 외교 정책, 한중 양자 관계, 사드 문제, 한반도 정세 등에 대해 깊이 있고 허심탄회하게 의견을 교환했다”면서 “양측은 소통을 한층 강화하고 갈등을 적절히 해결하며 한중 관계를 이른 시일 내에 안정되고 건강한 발전 궤도로 되돌리도록 노력하기로 합의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우리는 한국 측이 정치적인 의사와 결단을 보여주고 약속을 지키며 중국 측과 함께 유관문제를 적절히 해결하고 양국 관계를 이른 시일 내에 개선하고 발전시키는 데 노력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겅 대변인은 “이번 전략대화에 앞서 양제츠 외교 담당 국무위원이 임성남 차관을 만나 한중 양국은 중요한 이웃 나라로서 중국 측은 한중 관계 발전을 중시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아울러 “양 국무위원은 한중 양국 정상이 달성한 공통된 인식을 실현해야 하며 한중 수교의 초심을 잊지 말고 우호적인 협력 방향을 견지해 서로 핵심 이익과 중요한 우려(사안)를 존중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설명했다.
겅 대변인은 “임 차관은 문재인 대통령이 한중 관계 개선 발전을 희망하며, 올해 한중 수교 25주년을 맞아 한국 측은 중국 측과 소통과 협조를 강화하고 양국 관계에 중요한 진전을 달성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고 덧붙였다.
겅 대변인은 이번 전략대화에서 한중 정상회담에 대한 논의가 있었는지 확인해달라는 말에는 “현재 발표할 소식이 없다”고 답을 피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