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은 17일 이명박(MB) 전 대통령이 검찰의 국가정보원 특수활동비 수수 의혹 수사에 대해 ‘보복정치’라며 비판하는 성명을 발표한 것에 대해 “뻔뻔하기가 이를 데 없다. 국민은 이 전 대통령에게 두 번 속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명박 전 대통령이 17일 오후 강남구 삼성동 사무실에서 검찰의 특수활동비 수사와 관련한 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이명박 전 대통령이 17일 오후 강남구 삼성동 사무실에서 검찰의 특수활동비 수사와 관련한 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추혜선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내고 “정황은 이전부터 명확했지만 이 전 대통령은 권력의 철갑을 입고 의혹의 칼날을 교묘하게 피해왔다. 이제 어떤 방법을 써도 피할 수 없을 것”이라면서 “이 전 대통령은 곧바로 검찰로 향해 그곳에서 명명백백히 시비를 가려주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추 수석대변인은 “짜맞추기 수사라고 하는데, 말은 바로 해야 한다. 국민의 염원이 이제야 이뤄지는 것이지 짜맞추기가 아니다”면서 “국민은 이 전 대통령에게 두 번 속지 않는다. 국민을 더 기만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오만을 버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이명박 전 대통령은 “검찰 수사는 정치공작이자 노무현 전 대통령의 죽음에 대한 정치보복”이라고 주장했다. 이 전 대통령은 이날 성명서 발표를 통해 “더 이상 국가를 위해 헌신한 공직자들을 짜맞추기식 수사로 괴롭힐 것이 아니라 나에게 책임을 물으라는 것이 저의 입장이다. 지금 수사를 받고 있는 우리 정부의 공직자들은 모두 국가를 위해 헌신한 사람들”이라고 주장했다.
김유민 기자 planet@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