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한국, 차기 당대표 임기는 1년? 총선까지?…입장 제각각

한국, 차기 당대표 임기는 1년? 총선까지?…입장 제각각

강경민 기자
입력 2018-07-01 10:28
업데이트 2018-07-01 1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20년 총선 공천권 달려…“갈등 잠재우려면 1년” vs “쇄신하려면 2년”‘조기 전당대회냐, 혁신 비대위냐’ 갈등도 계속

이미지 확대
자유한국당 김성태 당 대표 권한대행과 당 지도부가 29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 참석하기위해 회의실로 들어오고 있다. 2018.6.29 연합뉴스
자유한국당 김성태 당 대표 권한대행과 당 지도부가 29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 참석하기위해 회의실로 들어오고 있다. 2018.6.29 연합뉴스
지방선거 참패 이후 당 쇄신방안을 놓고 내홍을 거듭하고 있는 자유한국당 내에서 조기 전당대회를 통해 당대표를 뽑되 임기를 1년으로 하자는 대안이 떠오르고 있다.

한국당 당대표 임기는 통상 2년이다. 다만 당헌·당규는 ‘궐위된 당대표의 잔여임기가 6개월 이상일 경우 60일 이내에 전당대회를 열되, 임기를 전임자의 잔여임기로 하도록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지방선거 패배에 책임을 지고 중도 하차한 홍준표 전 대표의 잔여임기가 내년 7월까지인 만큼, 당헌·당규에 따라 새롭게 선출하는 당 대표의 임기를 내년 7월까지로 하자는 주장이다.

한 중진의원은 1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혁신 비상대책위원회에 전권을 줘야 한다는 쪽이나, 조기 전당대회를 해야 한다는 쪽이나 합의점을 찾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공천권이 없는 당대표를 뽑아 우선 당을 안정화하는 것도 해법”이라고 말했다.

‘임기 1년’의 대표를 선출할 경우 새 대표는 2020년 총선 공천권을 행사하지 않기 때문에 극에 달한 계파 갈등을 잠재우면서 당 수습책을 마련할 시간을 벌 수 있을 것이라는 논리다.

분당 이야기까지 나오는 상황에서 사생결단식 권력다툼을 막고 당을 안정시키는 방안이 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일부 중진들 사이에서 이와 관련한 논의가 오간 것으로 전해졌다.

한 재선의원도 “총선 공천권 이야기가 나오니 목숨 걸고 싸우는 것”이라며 “조기 전당대회로 뽑힌 당 대표가 쇄신에만 주력하도록 하는 것이 방법일 수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계파별, 주자별로 정치적 셈법이 제각각이어서 이런 안이 힘을 받을지는 미지수다.

당장 김성태 대표권한대행은 혁신 비대위원장에게 차기 총선 공천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칼을 주겠다고 공언했다. 비대위의 쇄신활동에 막강한 권한과 함께 시간을 부여하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이렇게 되면 새 대표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는 늦춰지고, 새 대표는 총선 공천권을 거머쥘 수 있다.

잔류파 의원들도 대부분 이런 시나리오에 생각을 같이한다.

반면 친박근혜(친박)계를 중심으로 한 잔류파와 잠재적인 전대 주자군은 조기 전당대회를 주장하고 있다.

특히 친박계는 김 대행 체제에서 꾸려질 혁신 비대위가 사실상 친박 청산을 주도할 것이라는 우려를 감추지 않으면서 전당대회를 통해 새 판을 짜자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김진태 의원은 지난달 28일 의원총회에서 “전대를 무기한 미룬다고 능사가 아니다”라고 했고, 윤상직 의원은 “이른 시일 내에 전대를 열어 대표는 뽑고, 그 대표가 잘하면 21대 총선까지 가는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친박계는 새롭게 뽑힐 당대표의 임기에 대해 일치된 의견을 내놓지 않은 상태다.

전당대회에 관심을 두고 있는 중진의원들은 ‘1년짜리 대표’에는 반대 의사가 명확하다.

한 중진은 통화에서 “외부에서 들어온 비대위원장이 아니라 의원들이 직접 뽑은 당대표가 인적청산을 주도해야 한다”며 “조기 전대를 열되 당헌·당규를 고쳐 임기도 새로 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