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03/05/SSI_20200305163450_O2.jpg)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03/05/SSI_20200305163450.jpg)
문재인 대통령,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연합뉴스
연합뉴스
윤도한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브리핑에서 김 위원장이 문 대통령에게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극복을 기원하는 친서를 전날 보내왔으며 문 대통령도 감사의 뜻을 담은 친서를 하루 뒤 보냈다고 밝혔다.
청와대는 다만 친서가 어떻게 오갔는지 등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함구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저희가 유지하는 소통 채널을 통해서 받았다”고만 밝혔다. 통일부 관계자도 “친서 루트는 당국 간 유지 중인 채널로 알고 있다”고 했다.
우선 친서가 오간 경로로는 국가정보원과 통일전선부 간 ‘핫라인’에 무게가 실린다. 정상 간 메시지 전달인 데다 북한이 최고지도자 관련 사안에는 특히 더 비밀을 유지하며 격식을 중시하는 경향을 보여 왔기 때문이다.
국정원-통전부 핫라인은 과거에도 남북한 최고 지도자 간 소통에 활용됐다. 남북은 이 국정원-통전부 핫라인을 통해 2018년 북한의 평창동계올림픽 참가와 세 차례 정상회담 등 주요 사안을 물밑에서 접촉해 왔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해 4월 27일 판문점 군사분계선에서 만나 회담장인 평화의집으로 이동하고 있다. 뉴스1 자료사진](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03/05/SSI_20200305165739_O2.jpg)
뉴스1 자료사진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해 4월 27일 판문점 군사분계선에서 만나 회담장인 평화의집으로 이동하고 있다. 뉴스1 자료사진](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03/05/SSI_20200305165739.jpg)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해 4월 27일 판문점 군사분계선에서 만나 회담장인 평화의집으로 이동하고 있다.
뉴스1 자료사진
뉴스1 자료사진
하지만 이번에는 북측 인사가 판문점을 직접 찾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졌으며, 판문점을 관리 운영하는 통일부도 이런 움직임을 전혀 감지하지 못했다는 후문이다.
다른 남북 간 소통채널인 개성 남북연락사무소는 코로나19 확산을 우려한 남북이 지난 1월 30일부터 운영을 잠정 중단한 만큼 이를 통한 친서 교환 가능성은 작은 것으로 보인다.
윤 수석은 이날 브리핑에서 “김 위원장은 친서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와 싸우고 있는 우리 국민에게 위로의 뜻을 전했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이 친서를 보낸 것은 동생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이 청와대를 상대로 비난을 퍼부은 담화를 발표한 다음날이란 점에서 관심을 모았다.
최선을 기자 csunel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