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재난지원금 ‘맞춤형 선별’ 관철
치킨게임 치닫던 의정 갈등 봉합
절제된 언어 구사 당무에도 이어져
7일 첫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08/30/SSI_20200830225933_O2.jpg)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08/30/SSI_20200830225933.jpg)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
이 대표는 여권 내 이견이 표출된 2차 재난지원금을 업종별·계층별 ‘맞춤형 선별지원’으로 정리했다. 이재명 경기지사 등이 ‘선별 지급은 보수정당의 논리’라고 반발했으나, 대응하지 않고 자기 뜻대로 밀고 나갔다. 지난 4월 총선을 앞두고 내린 전 국민 지급이 왜 선별 지급으로 바뀌었는지에 대해 이 대표는 “4차 추경은 전액 국채로 충당해야 하기 때문”이라는 다소 빈약한 논리로 설명했다. 업종별·계층별 선별에 따른 불평등과 불공정에 대한 문제제기는 이 대표가 차후 넘어야 할 과제다.
![정세균 국무총리와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6일 서울 종로구 총리공관에서 열린 고위당정협의회에서 인사를 하고 있다. 2020. 9. 6 김명국 선임기자 daunso@seoul.co.kr](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09/06/SSI_20200906150129_O2.jpg)
김명국 선임기자 daunso@seoul.co.kr
![정세균 국무총리와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6일 서울 종로구 총리공관에서 열린 고위당정협의회에서 인사를 하고 있다. 2020. 9. 6 김명국 선임기자 daunso@seoul.co.kr](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09/06/SSI_20200906150129.jpg)
정세균 국무총리와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6일 서울 종로구 총리공관에서 열린 고위당정협의회에서 인사를 하고 있다. 2020. 9. 6
김명국 선임기자 daunso@seoul.co.kr
김명국 선임기자 daunso@seoul.co.kr
국무총리 시절부터 정평이 나있던 절제된 언어는 당무에도 이어졌다. 전임 이해찬 대표가 야당을 향해 “용서하지 않겠다”, “필리버스터는 쿠데타” 등의 과격한 언어를 썼던 것과 비교된다. 최고위원들은 발언 시간과 중점 메시지 분야를 교통정리했고, 누구든 이 대표보다 길게 발언하지 않도록 룰을 정했다.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일 오후 서울 마포구 망원시장을 방문해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인들과 애로사항에 대해 대화하고 있다. 2020. 9. 2 김명국 선임기자 daunso@seoul.co.kr](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09/02/SSI_20200902152452_O2.jpg)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일 오후 서울 마포구 망원시장을 방문해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인들과 애로사항에 대해 대화하고 있다. 2020. 9. 2 김명국 선임기자 daunso@seoul.co.kr](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09/02/SSI_20200902152452.jpg)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일 오후 서울 마포구 망원시장을 방문해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인들과 애로사항에 대해 대화하고 있다. 2020. 9. 2 김명국 선임기자 daunso@seoul.co.kr
또 다른 민주당 관계자는 “1차 지원금 때와 달리 당정 간 잡음 없는 마무리에서 국정운영 경험이 엿보인다”며 “나라가 위기인 상황에서 일을 벌이기만 하고 수습하지 못하면 안 된다. 현재는 국민들이 역동적 리더십이 아니라 안정적 리더십을 원하는 때”라고 평가했다.
이 대표는 7일 첫 국회 교섭단체 대표 연설에 나선다. 이 대표는 이날도 야당과의 협치 방안, 정기국회 최우선 과제 등을 역설하며 위기 관리 능력을 부각시킬 예정이다.
손지은 기자 sso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