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이재명, 부울경 1위…누계 74.59% ‘독주’

[속보] 이재명, 부울경 1위…누계 74.59% ‘독주’

강민혜 기자
입력 2022-08-13 19:01
수정 2022-08-13 19: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
13일 오후 부산항 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당 대표·최고위원 후보 합동연설회에서 이재명 당 대표 후보가 연설하고 있다. 2022.08.13 연합뉴스
13일 오후 부산항 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당 대표·최고위원 후보 합동연설회에서 이재명 당 대표 후보가 연설하고 있다. 2022.08.13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차기 당 대표를 선출하기 위한 13일 부산·울산·경남 경선에서도 이재명 후보가 75% 안팎의 득표율로 압승했다.

도종환 민주당 중앙당선거관리위원장은 이날 부산항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부산 합동연설회를 마친 후 울산·경남·부산 지역 권리당원 투표 결과를 발표했다.

이 후보는 이날 울산에서 열린 순회 경선에서 권리당원 투표 득표율 77.61%로 1위를 기록했다. 박용진 후보가 18.4%로 2위, 강훈식 후보가 3.99%로 그 뒤를 이었다.

경남에서 진행된 경선에서는 이 후보가 75.53%를 얻었고 박 후보는 20.06%, 강 후보는 4.41%를 확보했다.

부산에서는 이 후보가 73.69%를 받았다. 박 후보는 21.93%, 강 후보는 4.38%의 득표율을 얻었다.

이날까지 치러진 전국 순회경선의 누적 득표율은 이 후보가 74.59%, 박 후보 20.70%, 강 후보 4.71% 순서다. 이로써 이 후보가 1위를 확보했다.
13일 오후 부산항 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당 대표·최고위원 후보 합동연설회에서 강훈식(왼쪽부터), 박용진, 이재명 당 대표 후보와 우상호 비상대책위원장이 손을 맞잡고 인사하고 있다. 2022.08.13 연합뉴스
13일 오후 부산항 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당 대표·최고위원 후보 합동연설회에서 강훈식(왼쪽부터), 박용진, 이재명 당 대표 후보와 우상호 비상대책위원장이 손을 맞잡고 인사하고 있다. 2022.08.13 연합뉴스
최고위원 누적 득표율은 정청래 후보가 28.44%를 얻어 1위를 차지했다. 고민정 후보가 21.77%로 2위였다. 이어 박찬대 후보 11.66%, 장경태 후보 10.93%, 서영교 후보 10.33% 순으로 3~5위다. 윤영찬(8.05%), 고영인(4.81%), 송갑석 후보(4.01%)가 그 뒤를 이었다.

민주당 당대표 후보 경선은 대의원 투표 30%, 권리당원 투표 40%, 일반당원 여론조사 5%, 국민여론조사 25%로 구성된다. 오는 14일 충남·충북·대전·세종 권리당원 투표 결과, 1차 국민여론조사 결과가 발표된다. 대의원·일반당원 투표 결과는 28일 전국대의원대회에서 공개된다.
더불어민주당이 새 지도부를 선출하는 8·28 전당대회 지역 순회경선을 시작한 6일 강원 원주시 한라대학교 대강당에서 열린 합동연설회에서 최고위원 후보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송갑석, 정청래, 윤영찬, 고영인, 고민정, 박찬대, 서영교, 장경태 후보. 2022.08.06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새 지도부를 선출하는 8·28 전당대회 지역 순회경선을 시작한 6일 강원 원주시 한라대학교 대강당에서 열린 합동연설회에서 최고위원 후보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송갑석, 정청래, 윤영찬, 고영인, 고민정, 박찬대, 서영교, 장경태 후보. 2022.08.06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