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서 열린 첫 광복절 행사… 소안도 어린이 애국가 선창

용산서 열린 첫 광복절 행사… 소안도 어린이 애국가 선창

안석 기자
안석 기자
입력 2022-08-15 18:08
수정 2022-08-16 06: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15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잔디마당에서 열린 제77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만세삼창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15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잔디마당에서 열린 제77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만세삼창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15일 윤석열 정부의 첫 광복절 경축식은 ‘위대한 국민, 되찾은 자유, 새로운 도약’이라는 주제로 용산 대통령실 청사 앞 잔디마당에서 진행됐다. 과거 광복절 행사는 청와대 인근 세종문화회관 등에서 개최하는 게 일반적이었지만 이번 행사는 집무실 이전과 함께 처음으로 용산 청사에서 개최됐다.

●대통령 부부 18일 만에 공식 일정

윤 대통령은 이날 광복절 경축식에서 검은 정장에 하늘색 넥타이를 착용했고 김건희 여사는 흰색 투피스 정장 차림으로 행사에 동행했다. 두 사람 모두 왼쪽 가슴에는 태극 문양 행커치프를 착용했다. 윤 대통령 부부가 함께 공식 일정을 소화한 것은 지난달 28일 울산에서 열린 차세대 이지스 구축함 ‘정조대왕함’ 진수식 이후 18일 만이다.

애국가 제창은 모든 가정이 1년 내내 태극기를 게양해 ‘태극기의 섬’으로 불리는 전남 ‘소안도’의 어린이 대표와 국방부 군악대대가 선창하며 진행됐다. 이어 상영된 주제 영상에서는 생존 애국지사와 미래세대의 인터뷰를 담았다. 윤 대통령 부부는 해외 거주 및 국내 독립 유공자 후손, 미래세대 대표 등과 함께 태극기를 흔들고 ‘만세 삼창’을 하기도 했다.

●尹, 文 첫해 경축사 글자 수의 절반

‘국민·자유·도약’으로 요약된 이번 경축식 주제어의 필체는 각각 김구·안중근·윤동주 등 선열들의 필체를 집자해 구성했다고 대통령실은 설명했다.

지난 취임사에서 35차례나 언급된 ‘자유’는 이번 광복절 경축사에서도 33차례로 가장 많이 언급됐다. 이외에도 경축사에서는 독립(18회), 국민(15회), 세계(12회), 평화(9회), 경제(9회) 등이 주로 언급됐다. 이번 경축사는 글자 수 기준으로 2864자(공백 제외)로, 문재인 정부 첫해 경축사(5871자)의 절반 수준이었다.
2022-08-16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