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외용 조선중앙통신 발사 사진 게재
노동신문 등 내부용은 보도 안해
![북한, ‘실패한’ 위성 발사 장면 공개](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6/01/SSC_20230601101917_O2.jpg)
2023.6.1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북한, ‘실패한’ 위성 발사 장면 공개](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6/01/SSC_20230601101917.jpg)
북한, ‘실패한’ 위성 발사 장면 공개
북한이 지난달 31일 북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새발사장에서 쏜 첫 군사정찰위성 ‘만리경 1호’를 실은 위성운반로켓 ‘천리마 1형’의 발사 장면을 1일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했다. 이 로켓은 엔진 고장으로 서해에 추락했다. 북한 국가우주개발국은 발사 후 2시간 30여분 만에 실패를 공식 인정했다.
2023.6.1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2023.6.1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1일 조선중앙통신은 전날 북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의 발사장에서 발사된 위성운반로켓 ‘천리마-1’형이 화염을 일으키며 날아오르는 모습을 공개했다.
발사 장소는 기존의 서해위성발사장과는 확연히 달라 북한이 최근 기존 서해위성발사장에서 3㎞ 정도 떨어진 바닷가에 조성한 새 발사장(제2발사장)으로 추정된다.
발사체 상단부는 몸체보다 직경이 두꺼운 뭉툭한 형태로, 탄두가 아닌 위성이 탑재됐음을 확인할 수 있다. 북한 미사일은 탄두부가 몸체보다 얇다.
발사체의 화염은 최소 두 줄기가 식별돼 여러 엔진을 결합(클러스터링)한 형태라는 점이 포착됐다.
이 발사체는 발사 후 2단 엔진이 제대로 점화되지 않으면서 추락했고 그 잔해가 우리 군에 인양되는 등 실패한 결과임에도 북한이 발사 장면을 공개한 것은 이례적이다.
사진을 공개한 조선중앙통신은 북한 주민들은 접근하지 못하고 북한이 대외용으로 활용하는 매체다.
주민들이 접근 가능한 노동신문과 조선중앙TV, 조선중앙방송 등에는 관련 내용이 아직 보도되지 않았다. 노동신문은 농사와 건설 등 경제 분야 성과를 다그치는 내용을 집중 보도하기도 했다.
신속한 실패 시인과 함께 위성이 탑재됐음을 확인할 수 있는 발사 사진을 공개한 것은 전날 발사체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등 무기체계가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기 위한 것 아니냐는 추측이 제기된다.
![북한, ‘실패한’ 위성 발사 장면 공개](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6/01/SSC_20230601101927_O2.jpg)
2023.6.1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북한, ‘실패한’ 위성 발사 장면 공개](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6/01/SSC_20230601101927.jpg)
북한, ‘실패한’ 위성 발사 장면 공개
북한이 지난달 31일 북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새발사장에서 쏜 첫 군사정찰위성 ‘만리경 1호’를 실은 위성운반로켓 ‘천리마 1형’의 발사 장면을 1일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했다. 이 로켓은 엔진 고장으로 서해에 추락했다. 북한 국가우주개발국은 발사 후 2시간 30여분 만에 실패를 공식 인정했다.
2023.6.1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2023.6.1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한편 이날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한 ‘그 누구도 위성발사에 대한 우리의 주권적 권리를 부정할 수 없다’는 제목의 담화문에서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적들이 우리가 정찰위성을 포함한 우수한 정찰 정보 수단을 보유하게 되는 것을 제일 두려워한다는 것을 재삼 확인했으며 따라서 정찰 수단 개발에 더 큰 힘을 쏟아부어야 하겠다는 것을 의식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군사정찰위성은 머지않아 우주 궤도에 정확히 진입해 임무 수행에 착수하게 될 것”이라며 추가 발사를 예고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