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선박이 북한에서 컨테이너를 싣고 운송하는 모습을 담은 위성사진.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0/25/SSC_20231025092910_O2.jpg)
![러시아 선박이 북한에서 컨테이너를 싣고 운송하는 모습을 담은 위성사진.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0/25/SSC_20231025092910.jpg)
러시아 선박이 북한에서 컨테이너를 싣고 운송하는 모습을 담은 위성사진. 연합뉴스
미국 전쟁연구소(ISW)는 에스토니아 방위군(EDF) 정보센터 앤트 키비셀그 대령의 말을 인용해 “북한이 러시아에 포탄 30만~50만 발을 제공했을 수 있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작성했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이 25일 보도했다.
북한이 나진항을 통해 러시아에 보낸 컨테이너가 1000개에 달하고 컨테이너마다 포탄 300~500발씩을 싣는다고 가정해 나온 계산이다.
보고서는 “러시아는 현재 하루에 포탄 약 1만발을 소모하고 있다. 북한이 보낸 포탄만으로도 한 달 이상 포격을 이어갈 수 있다”며 “러시아에 아직 400만개의 포탄이 남아있어 (북한의 지원으로) 최소 1년 동안 ‘저강도 전쟁’에 사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왼쪽)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러시아 아무르주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회담을 열고 악수하고 있다. 두 정상이 회담하는 것은 2019년 4월 이후 4년 5개월 만이다. 2023.09.13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0/25/SSC_20231025092911_O2.jpg)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왼쪽)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러시아 아무르주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회담을 열고 악수하고 있다. 두 정상이 회담하는 것은 2019년 4월 이후 4년 5개월 만이다. 2023.09.13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0/25/SSC_20231025092911.jpg)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왼쪽)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러시아 아무르주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회담을 열고 악수하고 있다. 두 정상이 회담하는 것은 2019년 4월 이후 4년 5개월 만이다. 2023.09.13 연합뉴스
북한이 유엔 제재를 뚫고 몰래 들여오는 유류가 늘어나고 있다는 정황도 포착됐다.
미국 상업위성 ‘플래닛 랩스’가 촬영한 북한 남포 일대 위성사진에는 지난 7월 이후 3개월 사이 새로 지어진 유류 저장고 3곳과 추가 예정 용지 5곳이 포착됐다고 RFA가 전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