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기 운영능력 우수” vs “능력 좋지만 모래알”

“무기 운영능력 우수” vs “능력 좋지만 모래알”

입력 2011-07-09 00:00
업데이트 2011-07-09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세대 장병 전투력은

해병대 총기사건으로 신세대 장병들의 병영 생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민간 전문가들과 일선부대 장교들은 신세대 장병들이 머리와 체격은 좋아졌지만 체력적인 면과 인내심, 단체생활에 대한 적응 능력은 떨어진다고 입을 모았다.

이 같은 요소와 전투력과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렸다. 군사전문지 디앤디포커스의 김종대 편집장은 “체력과 인내심이 약해졌지만, 이것을 전투력의 저하로 볼 순 없다.”고 평가했다.

그는 인내심의 문제를 군 전체의 문제로 돌렸다. “병영 문화는 바뀐 게 없는데 사회는 급속히 바뀌면서 징병제 자체가 도전을 받고 있는 것”이라면서 “오히려 군이 바뀌지 않아 신세대 장병들이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경기 연천군에 있는 한 육군부대의 일반전초(GOP) 내무반에서 훈련을 끝낸 병사들이 여가 생활을 즐기고 있다. 연천 손형준기자 boltagoo@seoul.co.kr
경기 연천군에 있는 한 육군부대의 일반전초(GOP) 내무반에서 훈련을 끝낸 병사들이 여가 생활을 즐기고 있다.
연천 손형준기자 boltagoo@seoul.co.kr




●“체격 좋아졌지만 인내심 약해”

그는 “징병제를 유지하고 있는 독일이나 프랑스의 경우도 인식을 바꿔 장병들의 사기와 능동적인 복무를 이끌어 내고 있다.”면서 “이 나라들은 군에 입대하더라도 제복을 입은 시민으로 대우해 기본권이 존중되지만, 우리 군은 특수 권력관계의 일원으로 기본권을 제한하는 부분이 많고 결과적으로 군 복무에 최선을 다하지 못하는 상황이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단체생활 적응력도 떨어져”

임태훈 군 인권센터 소장도 “개인적인 성향이 강해졌다는 이유만으로 신세대 장병의 전투력이 약화됐다고 평가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면서 “무기체계가 발전하면서 단순한 힘의 논리만으로 전투력을 측정하던 시대는 끝났다.”고 말했다.

오히려 무기체계가 발달하면서 이를 운용할 수 있는 능력은 신세대 장병이 뛰어나다고 평가했다. 임 소장은 특히 “민간 사회는 인권의식과 법치주의가 빠르게 발전하고 있지만 아직도 과거형 군대를 지향하다 보니 신세대 장병들에 대한 잘못된 해석을 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일부 “힘으로만 전력 측정 안돼”

하지만 최전방 사단의 대대장급 영관장교는 “신세대 병사들 개개인의 능력이 좋아졌지만 군이라는 특수한 조직이 갖춰야 하는 팀워크에선 과거에 비해 많이 약해졌다.”고 분석했다. 그는 “신세대 장병들은 가정에서부터 개인 생활에 익숙해져 있어 다른 사람과의 마찰을 좋아하지 않는 성향이 강하다.”면서 “많은 사람이 하나의 구성원으로 지내기 위해선 발전적인 마찰이 필요하지만 그마저도 거부하는 경우가 있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장교는 “병사 관리가 부대 관리의 일부분인 것은 분명하지만, 많은 시간과 노력을 병사 한 명, 한 명에 대한 관리에 쏟아붓게 되면 이는 결국 전투력 저하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신세대 장병들이 과거보다 전투력이 떨어졌다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오이석기자 hot@seoul.co.kr
2011-07-09 3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